사주명리의 선택과 집중 설진관 선생님 글입니다. 여러 종류를 많이 보고 듣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어느 것을 선택해서 집중해서 보는 것이 좋은 것입니다. 수십 년간 명리학 등 역학공부를 하면서 2000년 이전에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책은 대부분 다 읽었을 것이고, 2000년 이후의 책은 선별해서 읽었습니다. .. 설진관 小考 2017.09.08
역(易)은 인문학 최고의 학문입니다. 설진관 선생님 글입니다. 우리네 세상 살이가 그리 쉽지가 않습니다. 어느 정도는 이미 세팅이 된 상태로 시작합니다. 더욱이 하늘에서 주어진 시험대 등 굴곡도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역(易)이라는 학문을 통해서 추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역(易)을 천상의 학문이라고 합니다. 역(.. 설진관 小考 2017.09.08
(업데이터) 제가 경험한 역학을 연구하는 이들이 지켜야할 덕목을 공개합니다. 1980년 이래 2017년 현재까지 37년간 역학 세상에 접하면서 주변의 역술인을 지켜본 결과 그리고 저 자신이 직간접으로 체험하거나 목격한 내용으로서, 역학인이 자신뿐만 아니라 후손을 위하여 반드시 지켜야 할 덕목으로 여겼던 내용을 조금씩 공개합니다. 상당히 많은 사례가 있지만 필.. 설진관 小考 2017.08.27
명리학의 구조적 사유(思惟) 명리학의 구조적 사유(思惟) 五行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지, 天干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天干과 天干의 관계상을 고찰한다. 陰陽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지, 地支는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地支와 地支와의 관계상을 고찰한다. 이제는 天干.. 설진관 小考 2017.08.20
사주명리의 생명은 통변입니다. 사주명리의 생명은 통변입니다. 아무리 이론이 현란할지언정 현장에서 부합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입니다. 그리고 고서에 남아있는 좋은 이론을 현장에서 통변으로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하고, 그것을 연습해야 합니다. 이론은 아는데 통변 할 줄 모른다면, 이는 꿀 먹은 벙어리.. 설진관 小考 2017.08.06
상론사주학의 정수는 조후론입니다. 상론사주학의 정수는 조후론입니다. 단순히 십간의 관계 100개를 모두 안다하여 완성되는 것이 아닙니다. 십간의 관계에서 조후론이 가미되어야 비로소 완성이 되는 것입니다. 조후는 명조자체에서 일어나는 현상에서 대세운의 변용에 따른 조후의 쓰임새가 달라지는 것까지 하나로 관.. 설진관 小考 2017.07.20
사주명리학 이론은 논리적이어야 합니다. (설진관 선생님의 글입니다) 사주명리학 이론은 논리적이어야 합니다. 사주명리학을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 제일 힘든 영역은 사주명리학 이론이 논리적이지 않은 사실에 당혹해합니다. 이는 사주명리학 이론의 시종이 연결되어야 함에도 대부분 상황에 얼버무려버리는 이론이 많으며 .. 설진관 小考 2017.04.18
사주명리학의 공부의 장점 사주명리학은 여타의 역학에 비하여 장점이 상당히 많은 학문입니다. 수십 년의 세월 동안 많은 역학 이론을 접해보았지만, 사주명리학처럼 사건이 시작과 경과 그리고 그 결말까지 추리할 수 있는 학문은 참으로 드물었습니다. 사주명리학의 장점은 통변술입니다. 혹자는 사주명리학으.. 설진관 小考 2017.04.13
(부산 설진관 선생님의 글입니다) 사주명리학자와 사주쟁이 제 아무리 현란한 역학이론을 알고 있으면 무엇하나요. 사주 하나 볼 줄 모르면 눈뜬 까막눈과 무엇이 다른가요. 사주 명리학을 공부하는 분들이라면 하나 같이 격국론을 공부했을 것입니다. 1980년 당사주, 1984년 甲子年에 명리학을 접한 후 30년 세월이 넘은 가운데 공부했던 격국론을 얼.. 설진관 小考 2017.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