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146

야학신결 편저자 눈으로 본 야학신결 공부 방법(1)

창조명리에서 출간된 야학신결은 모 대학에서 강의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실무에 적용 가능한 기법으로 (12편) 구성되어 있습니다. 12편 중에서 제1편 명리학의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사주명리학과 실용성 역(易)이란 무엇인가역(易)의 활용사주의 내면 구조(궁위)사주와 대운, 세운(사주학의 통변 구조)사주명리학 통변을 위한 도구육신의 기본 개념 및 통변의 확장7개의 소 단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사주명리학 공부 1. 소 단위에서 2. 역(易)이란 무엇인가에서 역(易)은 日과 月입니다. 역(易)은 음양이며 이는 土가 중심입니다.  음과 양이 결합된 것이 '나'이다.土란 것은 사람(人)인 '나' 혹은 '物質'이다.土가 음양에서 또 하나로 자리 잡아 천지인(天地人) 삼재가 되는 것이다. 야학신결 페이지 2..

이모저모 2024.11.29

사주명리학 공부의 첫 단계

105. 사주명리학에서 ‘의지’란 용어가 많이 나옵니다. ‘의지’에 대한 여러 갈래 질문) 관성이 많으면서 인성으로 통관하면 인성에 ‘의지’한다고 하고, 격국에서도 ‘의지’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사주명리학에서 ‘의지’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여러 갈래의 ‘의지’에 대해 잘 모르겠습니다. 답) 명조 주변에 많은 인성이 있다면 온갖 새들이 달려든 것이다. 인성은 나를 방해하는 것이다. 격국에서 말하는 의지는 내 의지와 관계없이 휩쓸려 가는 것이다. 내 의지와 관계가 없다. 격국의 환경은 내가 안하면 된다.  日支는 내가 타고 앉은 것이다. ‘신밧드의 양탄자’라고 야단법석 책에 나온다.(핵심) 질문) 日支의 ‘의지’는 본성인가요?  답) 내가 태어난 곳이 한국이네 이것이 일지다. 국적이다.격국이라는 것은 ..

이모저모 2024.11.04

사주명리학은 겉으로 드러난 현상입니다.

미래와 과거가 스치는 순간을 현재라고 생각합니다.사진기처럼 현재는 한 장의 필름으로 이어지는 한 편의 영화라고 봅니다.한 편의 영화 주인공은 바로 '나'입니다.  우리가 배우는 사주명리학은 현상이라고 보는 한 사람입니다.모년 모월 모일 모시에 일어나는 겉으로 드러난 모양새를 사주명리학으로 읽습니다.일어나는 현상은 하나의 일입니다.현상(일)의 마무리를 心이 한다고 봅니다.마무리의 몫은 心이고  다음 行이라 봅니다."하나를 정확히 알면 다른 하나는 반드시 불확실해진다는 원리"  또 다른 뜻으로 확실성의 반대는 인터넷 검색이라 하기도 합니다.  마무리 잘 하시고 하시는 모든 일들이 잘 되시기를 바래 봅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소소한 이야기 2024.11.02

사주명리학, 사주팔자 해석, 명리학 공부하기 좋은 책은 야학신결입니다.

사주명리학, 사주팔자 해석, 명리학 공부하기 좋은 책은 야학신결입니다.카페 경험담 탭에 올린 글입니다. 경험담을 담습니다. 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地支만 보겠습니다. 0  0   0   0亥 寅 辰 辰 巳年이 오면 寅巳 刑을 합니다. 일간에게 문제가 일어납니다. 1. 위 명조에서 辰辰이 있습니다.진여비결에 주중이자는 합충정배한다(30) - 8. 성격론과 진여비결에 공식이 있습니다.이미 명조에서 인연을 예고합니다.酉는 인연을 명조에서 제시를 하면서 丑의 인연은 저의 경험으로는 작용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삼합에서 한 글자가 빠지면 신수훈 선생님의 진여비결 공식 삼합일허이면 허일정배한다(31) - 8. 성격론과 진여비결에 공식이 있습니다. 2. 위 명조에서 辰辰이 있습니다.진여비결에 주중이자는 합충정..

이모저모 2024.10.31

사주명리학 인연에는 주어진 인연, 만들어가는 인연이 있습니다. ①

● 태극에 대한 공부 태극 이론은 퇴계 이황 선생의 성학십도, 주자는 태극 도에 대해 이르기를 '모든 도리의 핵심이요 百世道術의 淵源이다.' (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97) ● 음양에 대한 공부 음양은 음양의 변화를 좇아 길흉을 예측하는 점서(占書)이면서도 음양의 이치에 근본을 둔 의리의 서(書)이고 도덕철학의 서(書)이다.(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 106)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에 실린 내용입니다. 역경(주역)은 음양의 변화를 좇아 길흉을 예측하는 고서이면서도 음양의 이치에 근본을 둔 의리의 서 도덕철학의 서이다. 주역은 음양론이다. 양의 변화에 따라 음이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추리한 것이 주역이다. ● 역은 사람의 삶을 바르게 인도하는 길이요. 빛이며 일월 음양의 만남이요. 일월..

역학 인연 2024.02.24

명리학 공부 순서 ④

선생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연락드립니다. 명리학 실무 교재(창조명리 서적) 공부 순서와 동영상 활용법 등 공부하는데 필요한 참고 사항에 대해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느 선생님께서 문의를 하셨네요... 긴 문자는 아니지만, 품은 내용은 깊고 넓습니다. 제가 정리해서 창조명리 블로그에 올린다고 해서요... 그럼, 명리학 공부에 대해 네 번째 썰을 풀어 보겠습니다. 명리학 공부 순서 ④ 11. 오행 음양오행에 대한 썰은 지금도 내려가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썰도 있습니다. ■ 대연수(大衍數)라는 책에는 “물에서 나온 용 혹은 큰 거북의 등에 여러 가지 무늬가 있었다고 합니다. 한 획은 길고 두 획은 짧았다고 합니다. 꼬리 근처에 흰 점 하나. 머리 근처에 보라색 점이 아홉 개, 왼쪽 어깨에 ..

사주명리학 음양오행 상생, 상극에 의한 육친활용법

육친활용법은 명리를 처음 공부하는 사람은 이해가 쉽지 않다. 그러나 꼭 알아야 할 내용이므로 처음에는 그냥 읽고 지나갔어도 공부가 어느 정도 무르익으면 다시 반복하여 공부하라. 추명의 달인이 되는 길은 육친 활용이 자유자재로 능수 해야 가능하다. 그 이외의 지름길은 따로 없다. 출처 : 진여명리강론 시리즈 1권 기본이론

사주명리학 사주팔자와 일간의 성향 알아보기

누군가가 저에게 ‘파이팅’을 보냅니다. 감사합니다. 그래서 글을 남깁니다. 사주팔자는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사주팔자는 태어난 년, 월, 일, 시입니다. 지구에서 하늘을 관측한 결과물입니다. 년은 월을 포함하고, 일은 월에 포함되어 있고, 시는 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日)은 나(我)의 생일입니다. 사주팔자는 태어난 날(日)을 중요하게 보고 태어난 날(日)을 기준으로 잡습니다. 태어난 날(日)을 기준으로 부모님과 관계, 조상님과 관계, 자식과의 관계를 보기도 합니다. 하늘을 관측한 결과물을 문자로 표현하면 60갑자이며 상원갑자, 중원갑자, 하원갑자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문자의 종착지는 仁禮義智信입니다. 태어난 날(日)의 천간을 보면 木, 火, 土, 金, 水 중 하나에 속합니다. 태어난 날(日)의 천..

소소한 이야기 2024.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