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 초급2(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

음양오행 간지 종합 도표와 육친법

김초희 2024. 1. 25. 14:08

하늘의 기운을 문자로 보면

천간은 , , , , , , , , , 이며

지지는 , , , , , , , , , , , 입니다.

이를 천간의 간과 지지의 지를 표현하여 간지라고 합니다.

오행 간지 종합 도표는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147에 실려 있습니다.

 

오행 간지 종합 도표

 

木은 인(仁)을 대표하며 측은지심이며, 火는 예(禮)를 대표하며 사양지심이며, 土는 신(信)을 대표하며 성실지심이며, 金은 의(義)를 대표하며 수오지심이며, 水는 지(智)를 대표하며 시비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화, 토, 금, 수

 

 

음양오행공부는 세상의 가르침을 몸소 겪고 치러 봄으로써 점차 깨닫는 삶의 지혜다.

출처 :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동양학에서 음양오행 공부는 여러 갈래로 나누어집니다.

크게 보면 경학, 한의학, 명리학입니다.

음양오행 공부는 이론, 원리로 나누어지며 이론은 책으로, 원리는 책과 함께 깨달음이 있어야 합니다.

간지 종합 도표는 이론 공부에 해당됩니다.

 

음양을 정/편으로 나누고, 오행의 상생과 상극을 아셔야 육친법(六親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육친(六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