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의원류를찾아서 2

(역학여정) 명리학의 원류를 찾아서... 2

2000년대 접어들면서 탐구하기 시작했던 명리학의 원류를 찾는 데는 명리학 서적만으로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포기하기 일쑤이었는데, 어느 날 우연히 과거에(1993년 부산 중구 충무동에 있는 시민여인숙에 기거하시던 침구학 정석의 저자이신 권용웅 선생님으로부터 참구학을 사사한 적이 있습니다) 공부하던 침구학정석을 보면서 순간 눈이 밝아지더니 순간 명리학 서적에서 찾지 못했던 지지의 원리가 아련하게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명리학의 원류는 명리학에 있지 아니하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의역동원, 오상기혈론, 동의수세보원, 해부학, 코스모스, 노자의 도덕경을 비롯한 사서삼경, 조선시대 천문역법, 환단고기, 천부경, 부도지, 주역, 성호사설 등 두루 접하면서 이런 이론들을 통섭하기 ..

설진관 小考 2020.10.03

(역학여정) 명리학의 원류를 찾아서...1

처음 사주명리학을 공부할 때에는 무엇을 학습해야 할지 그리고 무엇을 외워야 할지 난감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비교적 입문은 일찍 했지만 당시 10대인 필자가 학습하기에는 이해가 너무 어려워 허송세월을 보내다가 1985~6년 경 비로소 사주명리학에 정열을 태우는 계기가 된 듯 합니다. 이 당시에는 사주명리학과 관련한 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오던 시기이었는데 이 당시 윤태현 선생님의 소설 '팔자'(행림 출판사)는 사주명리학을 소재로 한 소설이었습니다. 상당 부수가 판매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책을 구입하면 빨간색 표지의 작은 사이즈의 만세력을 부록으로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한 권짜리 命이라는 책이 나오면서(이후 命1.2로 분리) 사주명리학은 대중화를 이루는 듯했습니다. 이런 책들은 필자에게도 많은..

설진관 小考 202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