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학 6

현대 명리학의 연구

명리학의 발달 과정에서 오행으로 점단 했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으로 인해 모든 학문은 좀 더 상세하게 좀 더 구체적으로  파고 들어가는 것입니다. 장영실은 혼천의로 천문을 관찰하여 별들의 움직임과 오성의 움직임을 알게 되고 음양과 오행을 구분합니다. 현재 명리학을 공부하는 우리들은 음양이 무엇인지, 오행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고 봅니다. 왜냐면 진화 및 발달을 했으니 구체적인 해석의 길이 열렸기 때문이라 봅니다. 지지는 별의 움직임입니다. 28수와 연관이 되며 그 관계를 현무, 청룡, 주작, 백호라 합니다. 천간은 오성와 오기의 움직임을 붙여 오행이라고 합니다. 오행의 진화된 모습이 십간입니다. 십간으로  통변의 꽃이라 하는 육신이론이 나옵니다. 지지 寅은 육신이 아닙니다. 선현들..

소소한 이야기 2024.10.24

음양오행 간지 종합 도표와 육친법

하늘의 기운을 문자로 보면 천간은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이며 지지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입니다. 이를 천간의 간과 지지의 지를 표현하여 간지라고 합니다. 오행 간지 종합 도표는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147에 실려 있습니다. 木은 인(仁)을 대표하며 측은지심이며, 火는 예(禮)를 대표하며 사양지심이며, 土는 신(信)을 대표하며 성실지심이며, 金은 의(義)를 대표하며 수오지심이며, 水는 지(智)를 대표하며 시비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음양오행공부는 세상의 가르침을 몸소 겪고 치러 봄으로써 점차 깨닫는 삶의 지혜다. 출처 :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동양학에서 음양오행 공부는 여러 갈래로 나누어집니다. 크게 보면 경학, 한의학..

동양학, 역학계가 달라져야 합니다. 그리고 학위가 발목을 잡아서는 안됩니다.

이제는 명리학, 풍수학 등을 연구하는 동양학, 역학계가 달라져야 합니다. 그리고 학위 등 간판류가 발목을 잡아서는 안됩니다. 전국 각 대학에 명리학, 풍수학 등을 다루는 소위 동양학과가 많이 생기면서 대학원에도 석박사 과정이 생겨나고, 이른바 역학과 관련한 동양학 석,박사들이 많이 배출되었습니다. 그런데 동양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는다는 것과 현장에서 발휘하는 실력과는 대부분 무관합니다. 처음 명리학 등 동양학에 입문하면 주위에서 너도나도 사주니 궁합이니 등 봐달라는 의뢰가 들어오기 마련입니다. 이럴 때 제일 큰 문제가 통변입니다. 사주 명식을 보면서 용신이니 격국이니 비슷하게라도 골라내고 '좋다', '나쁘다' 식 외에는 꿀 먹은 벙어리가 되니, 오히려 문점자는 '더 보이는 게 없어요?'라며 되 묻곤 ..

설진관 小考 2021.11.22

동양적 사고의 시원(始原)

동양학(東洋學)이 세상 모든 현상을 완연하게 설명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세상 모든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어 동양학은 많은 가치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동양학에 열광하면서 궁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동양학(東洋學)을 궁구하는데 있어서의 접근은 동양적 사고(思考)에 기인하여야 할 것인데, 그 동양적 사고(思考)의 시원(始原)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그리고 천부경(天符經)에 대한 신뢰와 이해가 그것입니다. 설진관 드림

설진관 小考 20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