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99

상에서 발견한 것은 사주로 확인하고, 사주에서 발견한 것은 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며칠 전 지인과 꽃마을에 있는 어느 식당을 들렀다. 제법 음식솜씨가 있어 맛이 괜찮았다. 그런데 여사장의 얼굴을 보니 상이 불균형이라 필시 재가의 상이었다. 그리고 여종업원은 비록 얼굴은 미인 형이나 체상이 필시 홀로사는 형으로 보였다. 마침 일행이 여사장과 친분이 있다하여 진위 여부를 물어보니, 여사장이 모처에서 이혼한 후 현재의 남편과 재혼하여 이곳에 정착하여 식당을 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여사장의 사주를 열어보니 식상이 태과한데 이를 제하지 못하였더라. 그래서 이혼은 불가피 했으나, 재혼남은 인성인연이라 재혼이 가능했고 지금은 어느 정도 영업이 되는 편이었다. 그리고 여종업원의 사주를 열어보니 일지가 형충으로 싸여있어 만나는 인연마다 깨어지고 과연 늦은 나이에 홀로살고 있더라. 상에서 발견한 것..

사주명리학 하반기 공개 강의 예정

잘 지내시죠? 코로나가 좀 잠잠해지나 했더니,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닌 것 같습니다. 여기저기서 자연의 소리 오프라인 스터디 일정을 문의하시는 듯하는데 생각처럼 쉽지가 않습니다. 자연의 소리의 오프라인 모임은 최소 45명에서 많이는 75명가량이 모이는 비교적 큰 모임입니다. 그러다 보니 어설프게 모임을 공지하기에는 너무나 부담스럽니다. 만에 하나 감염되신 분이 자연의 소리를 다녀가신 것이 확인되면 자연의 소리를 비롯한 건물 전체를 폐쇄해야 합니다. 자연의 소리 학당만 폐쇄하면 되지만 1,2.3층 다른 영업장에도 큰 피해를 끼치는 악역을 하게 됩니다. 이 경우 사회적 비난을 피할 길이 없습니다. 그래서 신중에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는 실정을 감안해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께서도 가급적 사람이 모이는 곳으로는..

공개강의 2020.06.15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에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중요합니다.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에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중요합니다. 우선 1. 음양, 오행이 무엇인지 2.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떤 것인지를 암기합니다. 3. 십간과 십이지지를 암기합니다. 4. 십간, 십이지지와 오행과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암기합니다. 5. 지지장간에 있는 지장간을 꼭 암기합니다. 6.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7. 제일 중요한 사주의 내면구조(궁위)(야학신결 25쪽)를 꼭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사주명리학은 명리학의 용어와 1 ~7 까지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을 알면 볼 수 있습니다.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에서 중요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있습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페이지 127 ~ 129 제 1절 태극이 음양으로 나뉘고, 음양이..

역학 초급(1-3) 2020.06.09

사주명리학 기초 이론 中 육친 조견표 만들기

사주명리학 기초 이론 中 육친 조견표 만들기 1. 오성(五星) -> 오행(五行) -> 십간(천간)으로 나누어졌습니다. 십간(천간)의 구성은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입니다. 甲, 丙, 戊, 庚, 壬은 양(陽)이고 乙, 丁, 己, 辛, 癸는 음(陰)입니다. 2. 사계절을 음양(陰陽)으로 나타낸 그림입니다. 십이지지(지지)의 구성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입니다. ​ 3. 십간(천간)이 십이지지(지지)를 만나 60갑자가 만들어 집니다. 4. 나(我)를 기준으로 본 육신의 생(生)과 극(剋) 도표를 다시 보면, 나(我)를 생하는 것(生)으로 인성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인성은 편인과 정인이 있습니다. 나(我)를 억제하는 것(剋)으로 관성이라고 되어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5

동지(冬至)에서 하지(夏至)에 이르는 구간을 양둔(陽遁)이라고 한다. 하지(夏至)에서 동지(冬至)에 이르는 구간을 음둔(陰遁)이라고 한다. 동지(冬至), 하지(夏至)는 절기를 말합니다. 인터넷으로 보면 됩니다. 24절기가 나옵니다.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입니다. 역이라는 글자는 태양(日)과 달(月)에 의해 만들어 졌습니다. 사주팔자는 ‘나(我)’ 중심으로 자연 세계를 기호화해서 본 자연 철학입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사주팔자는 음양, 오행, 천간(십간), 지지, 지장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음양, 오행, 천간(십간), 지지, 지장간은 사주팔자를 해석하는 기호(..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4

2020년 6월 3일 오전 9시 3분 만세력입니다. 경자년 신사월 정축일 갑진시 입니다. 본원 기둥을 다시 봅니다. 본원 본원은 사주팔자에서 ‘나(我)’ 기준입니다. 정(丁) 천간(십간)입니다. 축(丑) 지지입니다. 식신(食神) 육신입니다. 계신기(癸辛己) 지장간입니다. 음양에서 본원 기둥의 천간(십간)에 해당되는 정(丁)은 음(陰)입니다. 오행에서 본원 기둥의 천간(십간)에 해당되는 정(丁)은 화(火)입니다. 오행의 상생에서는 본원 기둥의 천간(십간)인 정화(丁火)를 기준으로 잡습니다. 오행의 생(生)과 극(剋)의 예시를 보겠습니다. 오늘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기준은 바로 음(陰)에 해당되는 천간(십간)의 정화(丁火)입니다. 생(生)을 봅니다. 음(陰)에 해당되는 정화(丁火)가 생(生)하는 토(土)는 ..

명리학계의 대가

단군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온 음양, 오행의 한 갈래가 사주명리학입니다. 단군시대, 유교문화, 고대에서 현대까지 우리들의 삶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습니다. 현정 신수훈 선생님께서는 이석영, 박재완, 박제현선생님에 이은 명리학계의 큰 스승입니다. 진여명리강론 시리즈는 소수에게만 전해지던 명리학 보서였습니다. 2019년 출간되어 명리학을 연구하는, 실무에 종사하는 역학인들은 누구나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설진관 선생님께서는 1980년 당사주의 연구를 시작으로 역학계 입문, 1984년부터 명리학, 기문둔갑, 팔주법, 매화역수, 진여비결(인연법), 사계단법, 하상역법, 사주심역, 추신론 등을 연구하십니다.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은 대학교에서 강의하시던 강의록입니다. 우리나라 명리 고수, 명리 대가들을 많이 양성하고 계..

소소한 이야기 2020.06.02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2020년 6월 2일 오전 8시 34분에 본 만세력입니다. (경자년 신사월 병자일 임진시) 오늘은 병자일입니다. (파란색으로 기둥을 만들었네요.) 천간으로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中 세 번째 해당되는 丙이고 지지로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中 첫 번째 해당되는 子입니다. 천간 丙을 보면, 음양에서 보면 양에 해당 됩니다. 양이 가지고 있는 특성, 성향, 소속 등 음양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90 – 명리의 기초 이론- ) 2. 오행으로는 火에 해당 됩니다. 오행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에 ‘+’ 를 추가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6월 1일은 乙亥日입니다. 만세력으로 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사주팔자에서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를 알면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등, 나와의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본원 기둥을 보면 乙亥日입니다. 천간 乙木이 기준입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육친 조견표로 육신 구조도를 만들어 봅니다. ■ 천간 乙木의 육친 조견표 6월 1일은 乙亥日(천간 :乙 /지지:亥) 정인 편인 비견 비겁 (겁재) 상관 식신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임해 계자 을묘 갑인 병사 정오 무진술 기축미 경신 신유 ■ 육신 구조도 ■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는 음양, 오행의 상생, 상극에서 나옵니다. 乙木을 기준으로 해서 乙木이 生하는 火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