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갑자 5

사주명리학은 지혜의 지름길입니다.

황도(黃道, ecliptic)는 지구에서 태양을 보면 태양이 하늘을 1년에 걸쳐 이동하는 경로입니다. 12개의 별자리를 택하여 하늘의 구역을 가리키는 경로입니다. 황도(黃道)의 경로는 동지에서 출발하여 춘분을 거쳐 하지를 지나고 추분을 지나 다시 동지에 오면 일 년이 됩니다. 지지의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와 관계가 있습니다. 명리학은 태양력을 근원으로 하고 있습니다. 선현들은 황도의 경로에 움직이는 모습을 담아 문자로 남겼습니다. 60갑자의 탄생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60갑자는 오성의 좌표이며 성쇠를 표현합니다. 60갑자의 표기법은 만세력, 책력,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었다고 봅니다. 60갑자의 사용방법에서도 크게 입춘을 기준삼아 보는 만세력이지..

사주명리학 공부하기(2)

사주명리학 공부하기(1)에서는 60갑자는 무엇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았습니다. 나와 비슷한 성향을 가진 분들을 만나면 이야기가 잘 전달됩니다. 이런 모든 현상에는 에너지가 동반됩니다. 바로 음양오행의 움직임이라 보시면 됩니다. 왜냐면 기(氣)와 질(質)은 때와 장소와 시간을 가리지 않고 항상 끊임없이 앞으로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더 깊게 들어가면 상원갑자, 중원갑자, 하원갑자로 분류되고 심도 있는 이론들이 많이 있습니다.) 음양오행은 암기도 중요하지만 이해도 중요합니다. 60갑자를 쉽게 알기하기 위해 24절기로 표현했습니다. 다시 보겠습니다. 연월일시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태양력 (2) 태음력 (3) 절기력(만세력) 다음 글에서 좀 더 자세하게 보겠습니다. 사주명리학 공부는 기..

사주명리학 공부하기(1)

지구상의 생명체는 태양과 달의 영향으로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학설이 있으며, 생명체에는 오행(목, 화, 토, 금, 수) 영향인 기(氣)와 질(質)에 대한 이론이 있습니다. 이 이론은 혼돈의 시기인 춘추전국 시대 제자백가에 의해 제 각 각 정립되어 발전되어 내려왔습니다. 몸의 장부를 해석하는 방법을 서술한 황제내경에서 심, 폐, 간, 담, 소장, 비위, 신장, 방광 등 음양오행의 이론들이 나옵니다. 본격적으로 음양오행을 체계화하여 사용된 시대는 백제와 조선이라 하지만 음양오행설은 동이족의 근본입니다. 체계화되어 사용한 백제는 60갑자로 연호를 표기 했습니다. 조선 세종 시절에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역법인 칠정산을 편찬하면서 이를 원년(갑자년)으로 삼아 육십갑자를 기년법으로 사용하였고, 계유정난과 같이 조선..

육신 조견표로 본 癸水(계수)의 육신

육신 조견표로 본 癸水(계수)의 육신 동양적 사고의 출발은 단군입니다. 제사장과 통치자는 한 사람에게 주어진 임무였습니다. 책력을 사용하여 비가 안 오면 기우제를 비가 많이 오면 기청제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책력 [冊曆] - 천제를 관측하여 해와 달의 운행이나 월식, 일식, 절기를 적어 놓은 책] 책력의 구성은 음양, 오행이며 60갑자를 사용했습니다. 선현들은 세상의 이치를 아는 방법으로 사용했으며 누구나 태어나면서 사주팔자를 가집니다. 사주명리학은 일반적, 보편적 학문이며 동시에 점단도 가능합니다. 학(學)과 술(術)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는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은 사주명리학 통변바이블입니다. 누구나에게 있는 사주팔자의 구성은 천간, 지지, 지장간입니다. 현정 신수훈 선생님의 저서 진여명리강..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에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중요합니다.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에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중요합니다. 우선 1. 음양, 오행이 무엇인지 2.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떤 것인지를 암기합니다. 3. 십간과 십이지지를 암기합니다. 4. 십간, 십이지지와 오행과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암기합니다. 5. 지지장간에 있는 지장간을 꼭 암기합니다. 6.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7. 제일 중요한 사주의 내면구조(궁위)(야학신결 25쪽)를 꼭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사주명리학은 명리학의 용어와 1 ~7 까지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을 알면 볼 수 있습니다.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에서 중요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있습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페이지 127 ~ 129 제 1절 태극이 음양으로 나뉘고, 음양이..

역학 초급(1-3) 2020.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