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2

(역학여정) 사주명리학 등 역학 동정

이 글은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임을 먼저 밝힙니다. 제가 수십 년간 역학계를 둘러본 결과 재미있는 현상을 많이 보았습니다. 그 중 특이한 것은 역학인들이 입문한 이후 주로 접하는 교재입니다. 1980~1990년대, 서울, 경기권 영역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이 접하는 것은 대부분 사주정설(1995년 이전)이나 자평진전(1995년 이후)를 시작으로 출발을 하여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적천수로 갈아타는 경우가 있고 그 후에는 궁통보감을 즐겨보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사주첩경을 보는 이는 적었던 것이 의외이었습니다. 그런데, 부산을 비롯한 경상도 지역의 역학인들은 대부분 입문과정에서는 서울,경기 지역과 별 차이가 없이 사주정설로 시작합니다. 그 후에는 적천수를 보거나 사주첩경으로 이동하면서 실력을 쌓..

설진관 小考 2020.08.19

(역학여정) 명리학 비결을 찾아서...

사주 명리학을 비롯한 역학을 연구하는 이들은 비결을 찾아 전국을 헤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필자도 일반 역학인들과 다를 바가 없었기에 저의 기억속의 이야기를 꺼집어 내보려합니다. 필자가 처음 역학을 접하면서 읽었던 책들이 사주정설이었습니다. 개념이 잡히지 않아 어려워할 때 무렵 윤태현 선생님이 저술한 소설 팔자(행림출판사) 1편이 저에게는 자신감을 심어준 책이었습니다. 이 책이 처음 나왔을 때 부록 편에사주학 이론이 씌어있었고, 부록으로 빨간색 만세력도 받았던 책입니다. 그리고 1986년 경 남궁상선생님의 한국사주학보감, 그리고 이듬해 나온 한국사주학기초연구 이런 류의 책들이 저에게는 전부이었으나, 1988년 부산진구 부전동 서면로타리 구.국민은행 주차장 입구에서 그 당시 절판되어 손에 넣기도 어렵던 명리..

설진관 小考 202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