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간 8

사주팔자(년, 월, 일, 시)의 의미를 아시나요?

태어나면서 정해지는 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음양이 무엇인지? 오행이 무엇인지? 하늘의 항성과 행성과 해와 달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을 먼저 습득되어야 합니다.항성은 별이라 존재로 빛을 내지만, 행성은 해와 달의 관계에서 빛을 냅니다.별은 고정되어 있고 북극성을 기준으로 북두칠성의 꼬리별이 시간에 따라 움직이며 행성도 태양과 달의 시간과 빛을 받아 어느 공간에서 빛을 냅니다.   선현들은 하늘의 움직임을 보고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이를 사주팔자에 담아 감당해야 하는 일과 주어진 일이 있다고 합니다. 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 년은 무엇을 의미할까요?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 월은 무엇을 의미할까요?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 일은 무엇을 의미할까요?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 시는 무엇을 의미할까..

소소한 이야기 2025.03.13

명리학 이론에서 월률분야도와 지장간(월령인원도)는 다릅니다.

명리학 이론에서 월률분야도와 지장간(월령인원도)는 다릅니다. 지장간을 월령인원도라고 칭하기도 하므로 월령분야도와는 엄연히 분별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장간( 월령인원도)과 월령분야도의 구분없이 혼용되고 있는 것이 사계의 현실입니다.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 350쪽을 보시면, 설진관식 지장간(화토동궁, 수토동긍 / 지장간 (월령인원도) / 월률분야도 등 이상 3종류의 지장간 종류가 설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명리학을 연구하시는 분들이 각종 명리학 도서를 보셨다거나 다른 스승을 찾아 공부하러 가시면 지장간( 월령인원도)과 월령분야도의 구분없는 사용하게 되는 것을 많이 목격하게 되실 것이고, 특히 월령분야도의 표로서 자평진전뿐 아니라 다른 명리학을 논하는 것이 일반입니다. 그러므로 야단법석 ..

사주팔자 이야기 기초 만들기

사주팔자 이야기 기초 만들기 1. 사주팔자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2. 삼라만상은 음양, 오행 혹은 천, 지, 인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3. 음양, 오행, 천, 지, 인을 대표하는 천간과 지지를 알아야합니다. 4. 천간은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입니다. 5. 지지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辛, 酉, 戌, 亥입니다. 6. 지장간은 지지에 숨겨진 천간이라는 뜻으로 사주명리서적에 나옵니다. 7. 천간, 지지, 지장간을 음양으로 구분 하셔야 합니다. 8. 천간, 지지, 지장간을 오행( 木, 火, 土, 金, 水)으로 구분 하셔야 합니다. 9. 오행을 음양으로 구분을 하셔야 합니다. 10, 사주팔자는 4기둥, 8글자이며 가장 중요한 것은 일간(..

명리학 기본 이론 십간, 십이지지에 대한 필순 그리고 지장간, 간지 통근론에 대한 사주명리학 공부

명리학 기본 이론 십간, 십이지지에 대한 필순 그리고 지장간, 간지 통근론에 대한 명리학 공부 천문의 상황, 지식을 알고 명리학을 아셔야 합니다. 원리를 정확하게 알고 원칙을 정확하게 알고 이법을 정확하게 알면 명리학 이론은 이해가 됩니다. 명리학의 바른 공부를 하셔야 합니다. 십간, 십이지지에 대한 필순 공부입니다.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512에 실린 지장간에 대한 명리학 공부입니다. 월률분류장간표와 지장간은 다릅니다. 간지 통근론 공부입니다. https://youtu.be/daJLqMour6c

사주명리학 강의 동영상[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12지지 월률분야도/ 지장간/ 간지체성론]

https://youtu.be/c0xoageDZI4 명리학의 기초 이론과 난강망 그리고 대학의 내용들이 수록된 1권 기본이론/ 간지(천간과지지)에 대한 명확한 이론들이 들어 있는 2권 간지론/ 격국론과 명리학의 큰 바람을 일으킨 인연법이 수록된 3권 격국용신 진여비결/ 명리학을 공부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되는 ‘통변’ 기술들이 수록된 4권 격국연구 통변론/ 모든 명리학 이론을 집약하여 종합정리편이 되는 5권 종합통변론으로 구성된 진여명리강론 시리즈를 소개합니다. 명리학의 목적은 이론들이 실전에서 어떻게 해석되느냐가 관건입니다. 바로 ‘통변’이며 실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인상십이강명요는 ‘통변’을 하면서 한 번 더 확인할 수 있는 비법들이 들어 있습니다. 가령 이사와 관련된 명리학 이론과..

육신 조견표로 본 癸水(계수)의 육신

육신 조견표로 본 癸水(계수)의 육신 동양적 사고의 출발은 단군입니다. 제사장과 통치자는 한 사람에게 주어진 임무였습니다. 책력을 사용하여 비가 안 오면 기우제를 비가 많이 오면 기청제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책력 [冊曆] - 천제를 관측하여 해와 달의 운행이나 월식, 일식, 절기를 적어 놓은 책] 책력의 구성은 음양, 오행이며 60갑자를 사용했습니다. 선현들은 세상의 이치를 아는 방법으로 사용했으며 누구나 태어나면서 사주팔자를 가집니다. 사주명리학은 일반적, 보편적 학문이며 동시에 점단도 가능합니다. 학(學)과 술(術)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는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은 사주명리학 통변바이블입니다. 누구나에게 있는 사주팔자의 구성은 천간, 지지, 지장간입니다. 현정 신수훈 선생님의 저서 진여명리강..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6월 1일은 乙亥日입니다. 만세력으로 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사주팔자에서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를 알면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등, 나와의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본원 기둥을 보면 乙亥日입니다. 천간 乙木이 기준입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육친 조견표로 육신 구조도를 만들어 봅니다. ■ 천간 乙木의 육친 조견표 6월 1일은 乙亥日(천간 :乙 /지지:亥) 정인 편인 비견 비겁 (겁재) 상관 식신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임해 계자 을묘 갑인 병사 정오 무진술 기축미 경신 신유 ■ 육신 구조도 ■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는 음양, 오행의 상생, 상극에서 나옵니다. 乙木을 기준으로 해서 乙木이 生하는 火는 ..

사주명리학 기초(역학 기초) 이론 공부는 태극, 음양, 오행, 육신(육친) 조견표까지 알아야 합니다.

우선 1. 오행이 무엇인지 2.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떤 것인지를 암기합니다. 3. 십간과 십이지지를 암기합니다. 4. 십간, 십이지지와 오행과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암기합니다. 5. 지지장간에 있는 지장간(야학신결 38쪽)을 꼭 암기합니다. 6.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

역학 초급(1-3) 2017.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