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 17

명리학 공부 순서 ③

선생님 안녕하세요.질문이 있어서 연락드립니다.명리학 실무 교재(창조명리 서적) 공부 순서와 동영상 활용법 등 공부하는데 필요한 참고 사항에 대해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느 선생님께서 문의를 하셨네요... 긴 문자는 아니지만, 품은 내용은 깊고 넓습니다.제가 정리해서 창조명리 블로그에 올린다고 해서요... 그럼, 명리학 공부에 대해 세 번째 썰을 풀어 보겠습니다. 명리학 공부 순서 ③  8. 천명구도  성명의리지학(性命義理之學) 혹은 성리학(性理學) 혹은 주자학(朱子學)이라 합니다.조선에서 활발하게 꽃을 피운 성리학(性理學)은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과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이 있습니다. 이 그림은 천명구도(天命舊圖)입니다.조선 중종 시절 정지운은 [태극도설太極圖說], [선천도先天圖] 등 여러 고서..

사주명리학 음양오행 상생, 상극에 의한 육친활용법

육친활용법은 명리를 처음 공부하는 사람은 이해가 쉽지 않다. 그러나 꼭 알아야 할 내용이므로 처음에는 그냥 읽고 지나갔어도 공부가 어느 정도 무르익으면 다시 반복하여 공부하라. 추명의 달인이 되는 길은 육친 활용이 자유자재로 능수 해야 가능하다. 그 이외의 지름길은 따로 없다. 출처 : 진여명리강론 시리즈 1권 기본이론

명리학 공부 육친법 적용하는 방법

명리학을 공부하려면 음양오행론도 중요하고, 길흉신살 격국용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핵심 원리는 육친법(六親法)이다. 육친(六親)은 과연 무엇인가? 우주의 주인공인 자신을 기준하여 부모, 형제, 자녀, 배우자의 관계, 더 나아가 사회적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육친(六親)의 기준은 나(我)입니다. 모年, 모月, 모日, 모時에 태어나 혈육 관계, 사회적 관계를 알 수 있는 기준은 태어난 일(日)의 천간입니다. 태어난 일(日)의 천간 丁火가 기준입니다. 丁火를 기준으로 음양, 오행의 상생과 상극을 적용한 후 육친법(六親法)을 적용하여 자신과 혈육, 사회적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육친법(六親法)을 직관할 수 있을 때까지 연습을 반복하셔야 합니다. 출처 : 진여명..

명리학(命理學)을 공부한다는 것은 ...

명리학(命理學)을 공부한다는 것은 ... 명리학(命理學)은 오성학(五星學)에서 시원(始原)을 찾을 수 있으며 북극성(北極星)을 중심으로 해(日)와 달(月)이 교차하는 과정 속에서 성좌(星座)와 성쇠(星衰)의 관계를 읽으며 년(年), 월(月), 일(日), 시(時)에 태어난 인간(人間)의 숙명(宿命)과 운명(運命)을 해석하며 또한 당면한 문제와 해결 방안 그리고 운명(運命)의 나아가는 방향을 알 수 있는 학문입니다. 해(日)와 달(月)과 오성학(五星學)의 관계는 많은 사상가(思想家)와 이론들을 만들며 현재도 나아가고 있습니다. 유학(儒學)과 명리학(命理學)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알 수 있습니다. 한의학(韓醫學)과 명리학(命理學)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알 수 있습니다. 명리학(命理學)의 학문적 분류(分類)..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④)

명리학(命理學)은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른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座標)를 알아보는 동이족 고유의 학문입니다.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座標)에서 오성(五星)은 오기(五氣), 오행(五行)이라 하며 木. 火, 土, 金, 水입니다. 좌표(座標)는 지지(地支)라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입니다. 그래서 신수훈 선생님의 저서 '진여명리강론'에서 천시(시기, 때)를 알고 일을 도모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했습니다. 또한, 설진관 선생님의 저서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에서 인간에게 주어진 명운을 알 수 있고, 과거의 일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진행되는 일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명리학(命理學)은 천문(天文..

소소한 이야기 2023.08.08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진리(眞理)

음양오행(陰陽五行) 음양오행(陰陽五行)에 대하여 필자의 졸저 야단법석 사주명리학 실무대강 제1권에 어느 정도 설명을 했습니다. 음양 (陰陽)은 해와 달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세상이 미치는 밝음과 어둠의 변화를 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의 변화를 논한 것입니다. 그리고 오행( (五行)은 본시 木星火星土星金星水星(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의 움직이면서 발하는 빛을 보고 논한 것을 오행 (五行) 이라 논한 것입니다. 흔히는 일컷는 산에 있는 나무와 꽃, 장작불, 산과 들녘, 바위와 쇠, 빗물이나 강물은 본시 오행의 범주에 들지 않는 것인데 후학들이 오행의 개념을 이런 자연에 비친 모습으로 오행을 단정한 것은 오해입니다. 그렇다 하여 나무와 꽃, 장작불, 산과 들녁, 바위와 쇠, 빗물이나 강물이 오..

음양오행(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에서 논하는 사주명리학 음양오행)

1. 음양오행(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에서 논하는 사주명리학 음양오행) 2. 음양오행을 다루는 사주명리학의 본질은 별들의 움직임을 통해서 운명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3. 사주명리학으로 운명을 판단하는 것은 통변이 최우선입니다. ◆ 음양오행에 대한 본질적인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셔야 합니다. ◆ 음양오행 공부는 창조명리 서적을 추천합니다. https://youtu.be/wRMraMNHgDo

북극성(北極星)과 삼원(三垣)

동양 사상에서 북극성(北極星), 북극성(北極星) 넘어 삼원(三垣)이라고 태미원(太微垣), 자미원(紫微垣), 천시원(天市垣)이 있습니다. 동양의 흥망성쇠[興亡盛衰]를 읽는 키는 바로 천문 [天文]입니다. 예로 중국의 자금성을 보겠습니다. 자금성이란 이름은 1576년 처음 공식적으로 나왔습니다. 자금성의 자紫(보라색, 자주색)는 북극성(北極星)을 의미합니다. 자금성은 삼원(三垣)의 의미를 생각하고 지었습니다. 북극성(北極星)의 중요함을 알고, 삼원(三垣) 즉, 태미원(太微垣), 자미원(紫微垣), 천시원(天市垣)의 중요함을 알고 스스로가 실천하고 행(行)했습니다. 이 모두가 음양(陰陽), 오행(五行)입니다. 음양(陰陽), 오행(五行)을 다섯 글자로 표현을 하면 인(仁), 예(禮), 의(義), 지(智), 신(信..

소소한 이야기 2023.02.07

명리학과 사주명리학

명리학은 선현들의 발자취를 찾는 이론이며 학문입니다. 넓게는 동양 사상입니다. 좁게 사주명리학을 보면, 체계화, 구체적, 정확하게 공부한 사주명리학 이론을 통변해야 합니다. 그래서, 사주명리학은 통계가 아닙니다. 사주명리학은 이현령비현령도 아닙니다. 그러나 선현들의 발자취는 수많은 사주명리학 이론들을 낳았습니다. 선현들이 남기신 사주명리학 이론들 가운데 중요하지 않은 이론은 없습니다. 하나의 이론을 공부하시면 그 이론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시기가 올 때까지 인내와 끈기로 반복학습을 하셔야 그 시기가 옵니다. 그때 선택을 하셔야 한다고 봅니다. 그 이론을 사용할 것이냐, 사용하지 않을 것이냐의 선택입니다. 그래야, 공부를 했던 내용들이 남아 있습니다. 수박 겉핥기로 사주명리학 이론들을 공부하시면 남아있지 ..

소소한 이야기 2023.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