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률분야도 2

명리학 이론에서 월률분야도와 지장간(월령인원도)는 다릅니다.

명리학 이론에서 월률분야도와 지장간(월령인원도)는 다릅니다. 지장간을 월령인원도라고 칭하기도 하므로 월령분야도와는 엄연히 분별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장간( 월령인원도)과 월령분야도의 구분없이 혼용되고 있는 것이 사계의 현실입니다.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 350쪽을 보시면, 설진관식 지장간(화토동궁, 수토동긍 / 지장간 (월령인원도) / 월률분야도 등 이상 3종류의 지장간 종류가 설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명리학을 연구하시는 분들이 각종 명리학 도서를 보셨다거나 다른 스승을 찾아 공부하러 가시면 지장간( 월령인원도)과 월령분야도의 구분없는 사용하게 되는 것을 많이 목격하게 되실 것이고, 특히 월령분야도의 표로서 자평진전뿐 아니라 다른 명리학을 논하는 것이 일반입니다. 그러므로 야단법석 ..

사주명리학 강의 동영상[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12지지 월률분야도/ 지장간/ 간지체성론]

https://youtu.be/c0xoageDZI4 명리학의 기초 이론과 난강망 그리고 대학의 내용들이 수록된 1권 기본이론/ 간지(천간과지지)에 대한 명확한 이론들이 들어 있는 2권 간지론/ 격국론과 명리학의 큰 바람을 일으킨 인연법이 수록된 3권 격국용신 진여비결/ 명리학을 공부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되는 ‘통변’ 기술들이 수록된 4권 격국연구 통변론/ 모든 명리학 이론을 집약하여 종합정리편이 되는 5권 종합통변론으로 구성된 진여명리강론 시리즈를 소개합니다. 명리학의 목적은 이론들이 실전에서 어떻게 해석되느냐가 관건입니다. 바로 ‘통변’이며 실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인상십이강명요는 ‘통변’을 하면서 한 번 더 확인할 수 있는 비법들이 들어 있습니다. 가령 이사와 관련된 명리학 이론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