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 2

천간(天干)의 간합(干合)에 대한 시원(始原)

천간(天干)의 간합(干合)에 대한 시원(始原) 청암 선생님께서 간합(干合)에 대한 질의를 하셨습니다. 그 아래 대원명리학님이 고.한동석 선생님께서 우주변화의 원리에서 표현했던 그림 파일을 올려주셨는데요, 그 그림은 한동석 선생님께서 처음 오성학(五星學)이 연구될 당시에 고인들의 사유(思惟)를 기록한 것이 아닌 오운(五運)이 육기(六氣)와 합일되어 오운육기론(五運六氣論)으로 자리 잡아 황제내경(黃帝內經)에 수록된 것을 기반으로 재생산된 것입니다. 그렇다 하여 그것이 틀렸다고 말씀드리지는 않겠습니다. 명리가(命理家)들 사이 간합(干合)에 대한 온갖 억측이 난무한 가운데 간합(干合)의 의미가 오염되어 가는 듯하므로, 이에 10 천간(天干)의 간합(干合)에 대한 시원(始原)을 알려드리지 않으면 안될 것 같다는 ..

설진관 小考 2021.10.21

인상론, 명리론, 인간론을 융합한 관상, 명리, 인문학 서적입니다(1)

사주에서 본 운명을 관상에서 확인하고, 관상에서 본 운명을 사주로 확인하여 적중률을 높일 수 있는 관상+명리 이론과 역학자가 알아야 할 인문학 덕목이 정리되어 있는 [인상12강명요]를 들여다 보겠습니다. 인상12강명요는 12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페이지 15에 실린 -일러두기-를 보시면 인상은 12궁으로 복덕궁, 관록궁, 수명궁, 부모궁, 형제궁, 부부궁, 자녀궁, 질액궁, 천이궁, 전택궁, 재백궁, 인복궁이라 합니다. 삼정, 사독, 오관, 오성, 오악, 육부, 길흉 보는 법 등에 대해 나와 있습니다. ​ (삼정이 무엇인지, 사독이 무엇인지, 오관이 무엇인지, 오성이 무엇인지, 오악이 무엇인지, 육부가 무엇인지, 길/흉은 어떻게 보면 알 수 있는지, 찰색이 무엇인지 등 일러두기를 여러번 반복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