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자 5

실력있는 역학자는 사라져 가고...

1980-1990년대에 비하여 최근에는 점차 실력 있는 역학인들이 사라져 가고 있고, 무늬만 박사 역학자들만 생겨나고 있습니다. 명리학이나 풍수학 등 역술을 가르치는 대학이나 대학원의 경우 반드시 박사학위가 있어야만 강의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러다 보니 실력과는 무관하게 학위만으로 이른바 교수가 되는 샘입니다. 대부분 교수들은 시간강사나 겸임교수가 대부분이고 전임이라고 할지라도 계약기간이 있는 실력과 무관하게 임용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다 보니 실력 있는 역학자들은 소위 가방끈이 짧아 학위가 없다 보니 사계에서 쓸쓸히 퇴장하고 마니 말입니다. 점차 베이붐 세대들이 은퇴하고 제 2의 인생을 꿈꾸기 위해 역술을 배우려는 경향이 많은데, 필자는 그런 분들에게 조심할 것을 경고합니다. "학위라는 간판을 ..

설진관 小考 2023.01.07

이번에도 사주공부합시다-3 중 한가지 공부하고 싶습니다.

2022년 7월 17일 사주명리학 자유토론방의 "이번에도 사주 풀면서 공부합시다-3"에서 문제 7항의 자녀에 대하여 공부하고 싶어서 글을 씁니다. 많은 지도부탁 드립니다. 이글이 본 카페의 규칙에 어긋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乙 甲 癸 癸 坤 亥 子 亥 丑 1~6항은 생략합니다. 7. 이 명주의 자녀는 어떠할까요? [동방철학원 의견] -印星 旺極하여 食傷을 심하게 剋하는 모습과 원국자체에도 無食傷인 점 등으로 -슬하에 자녀가 없을 소지가 크다고 보입니다. 설진관 선생님께서의 크신 가르침을, 그리고 질책을 기다립니다. [설진관 선생님 지도 말씀] 자녀가 1인인데, 사실상 없다고 보는 것이 무리가 아닙니다. 사실 정답을 주셨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대단하신 해설입니다 ■자녀가 1인 있는 연유를 답을 알고..

역학 고급 2022.07.23

운명이란...

세상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 참으로 다양합니다. 어릴 적부터 부모로부터 버림받아 남의 집에 입양되어 눈치 밥 먹으며 성장하기도 하고, 성장하면서 학교에서 따돌림받으면서 성숙해지고, 사회에 나가서 사기를 당하거나 도둑을 만나 재산을 잃어버리고 세상을 원망하기도 합니다. 여성의 경우 일찍 정조를 잃고 화류계의 삶을 살아가는 경우도 있고, 때로는 좋은 남자를 만나 하루아침에 큰 빛을 보기도 하고, 연예인이 되어 인기를 한 몸에 얻기도 하다기 하루 아침에 인기를 잃고 스스로 삶을 마감기도 하고, 때로는 남자로부터 버림받아 홀연 출가하여 승도의 명으로 살아가기도 합니다. 남성의 경우 바르지 못한 친구와 어울리다가 일찍 소년원에 출입하다가 출소 중 더 큰 죄를 지어 사회에서 낙인 되고, 다시 교도소를 출입하..

설진관 小考 2022.05.06

현대 명리학에 대한 소회

현대 명리학에 대한 소회 필자가 10대에 접했던 명리학은 어렵기 짝이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힘든 건 암기해야 할 내용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항상 머릿속에는 외워야 할 명리학 지식들이 뒤 엉켜있어서 항상 복잡한 그 자체로 언제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할지 모르는 것들이었습니다. 그러다 어쩌다 접하게 된 적천수 천미는 필자의 모든 고민을 일소하게 해 준 오아시스와도 같은 책이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적천수 천미는 필자가 괴로워하는 12운성(포태법), 심지어 지장간까지도 모조리 불필요한 것들로 인식되게끔 했으니 참으로 통쾌하지 아니할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런 적천수 천미가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훌륭한 것들로 받아들여졌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당시 국내 대가들의 명리 이론에 비하여 ..

설진관 小考 2021.11.07

인상12강명요(人相十二講命要)와 설진관 추명가 해설 활용법

인상12강명요(人相十二講命要)에 대하여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이 있으므로 교재의 활용법을 간략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인상12강명요는 관상학, 명리학 그리고 인문학 즉 인간론이 융합된 아마도 역학계 최초의 교재일 것입니다. - 관상편만 보시려는 분은 각 12궁에 대한 관상론만 읽어보시면 관상학의 정수만을 습득할 수 있고, - 명리편만 보시려는 분은 각 12궁에 대한 명리론만 읽어보시면 명리학의 정수만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사주명리학 통변술 설진관 추명가 해설과 함께 보시면 더 많은 명리학 통변의 정수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인문학적인 내용이 필요하신 분은 각 12궁에 대한 인간론만 읽어보시더라도 높은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명리학만으로 무언가 부족함을 느끼는 분들에게는 관상이라는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