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오륜 2

사주명리학 이론 中 오행으로 본 성향 분석

사주명리학 이론 中 오행으로 본 성향 분석 ‘오행(五行)에 대한 공부 고대인들이 우주 만물의 발생과 변화, 발전을 木, 火, 土, 金, 水라는 다섯 가지 물질 운동에 의하여 生하고 剋하면서 이뤄진다고 파악한 학설로서 동양 사상의 핵심이요. 근간이다.´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107) 五行은 상생하고 상극하며 변화한다. 오행의 다양한 속성과 물상은 서로 상생하고 상극하며 상비하는 작용을 통하여 무궁하게 변화한다. 상생법 木 生 火, 火 生 土, 土 生 金, 金 生 水, 水 生 木 상극법 木 剋 土, 土 剋 水. 水 剋 火, 火 剋 金, 金 剋 木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115~116) 木은 신생, 성장, 발육, 약진, 곡직(曲直)의 목 기운이다. 수(數)로는 3, 8木이고..

사주명리학은 인문학적 소양입니다.

사주명리학은 근원은 자연입니다. 자연은 음양입니다. 음양은 발산과 수렴으로 구성되고 항상성( 恒常性)을 유지합니다. 우리나라 태극기를 보면 음양과 팔괘가 보입니다. 사서삼경, 오경, 격몽요결, 동몽선습 다 음양과 오행에 대한 글입니다. 삼강오륜에서 삼강은 음양, 더 나아가서 삼태극을 말하고, 오륜은 오행을 말합니다. 사서삼경은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시경, 서경, 역경을 말하고 오경은 예기, 춘추를 말합니다. 사주명리학은 교양서적입니다.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사주명리학 인연법 진여비결 해설, 진여명리강론 시리즈, 사주명리학 통변술 설진관 추명가 해설서에는 음양, 오행, 인문학적 소양을 가득 담고 있습니다. 참 좋은 사주명리학 공부 책이며 인문학 책입니다. 오늘도 참 좋은 하루, 건강 챙기는 하루..

소소한 이야기 2020.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