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41

사주팔자 해석에 필요한 내용입니다.(제갈량 선생님 요약분)

◑주용한 내용이라서 본문 올려봅니다사주명리학 추명가 형,충,회,합 동정론 설진관 추명가 155)[사주비결 개운명리 진여비결 속에있고,동정론을 앞세워야 정밀판단 하게 되오]#해설: 사주 비결이 되는 개운법은 진여비결속에 있으므로선연인지 악연인지 살펴 볼 수 있다.◆동動의 기본원칙아주 중요하다.지지는 합, 형, 충의 원칙에 의해서 지지의 지장간이 움직인다.지지 寅 속에는 甲木, 丙火라는 #지장간이 있다갑목과 병화의 지장간이 아무 때나 나오는 것이 아니다寅에 어떤 충격이 가해 질때 지장간이 움직인다.寅이라는 글자가 그 자체로 있을때는 정靜(고요할)함 가운데 고요하게 숨만 겨우 쉬고 있다.寅이라는 호랑이가 가만히 있다.그 속에 있는 갑,병도 가만히 있는 것이다寅을 깨워야 寅 속에 있는 갑목甲, 병화丙가 투출된다..

이모저모 2025.03.20

甲日干으로 살펴보자면,

1. 0 甲  0  0卯 子 卯 卯 사주팔자입니다.木이 너무 강왕하여 자라기 힘들다고 합니다.木이 밀집되어 가늘게 자라므로 오히려 부러지기 쉽다고 합니다.자라기 위해서는 火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진여명리강론 2권 페이지 45 2.丙 甲 0 0寅 寅 寅 0 사주팔자입니다.곧게 큰 나무로 자란다고 합니다. 일간이 강해서 火를 필요로 한다고 합니다.甲과 乙은 표리 관계라 그 근본은 한 가지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표리 관계란 겉면과 속면을 나타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3. 0 甲 辛 00 申 酉 0 사주팔자입니다.나무 주위에 金이 많으니 木이 힘들다고 합니다.위 사주에 寅生 인연을 맞이한다면 도움이 될까요?인연맞이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4. 0 甲 丙 00 午 午 0 사주팔자입니다.木日 火多에 水가 없다면 순..

소소한 이야기 2025.03.16

사주팔자를 분석해서 활용하면 홍익인간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사주팔자에서 자신의 운명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주어진 운명이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습니까? 사주팔자로 홍익인간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홍익인간(弘益人間)이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을 말하며 단군의 건국 이념으로서 우리나라 정치, 교육, 문화의 최고 이념입니다. 사주팔자는 천문(天文)을 해석해야 합니다.그래서 사주팔자를 해석하기 위해 태양과 달과 움직이는 오행과 28수의 별자리를 공부합니다.이를 간지라 하고 천간, 지지, 지장간으로 나눕니다. 개인의 사주팔자는 다 다릅니다.같은 사주팔자를 가진 사람도 있습니다.그러나 부모님의 사주팔자가 다릅니다. 명리학, 사주팔자 공부하기 좋은 창조명리 서적으로 삶의 형태가 다른 경우를 표현해보려고 합니다. 명리학, 사주팔자 공부하기 좋은 서적은 창조명리입니다. 오늘도 ..

소소한 이야기 2025.03.14

사주팔자를 분석하는 기법은 다양합니다.

날이 많이 차갑습니다.건강 유의하시고 기분 좋은 월요일 출발하시는 한 주가 되시기를 바래 봅니다.아래는 사주명리학 통변술 설진관 추명가 해설 페이지 420입니다.1. 한 권의 책이 출간되는데 엮은 참고 문헌들입니다.다들 아시고 많이 사용되는 적천수 천미와 자평진전이 보입니다.대표적인 책 2권을 제외하고도 사주 팔자를 분석하는 기법은 다양합니다. 사주명리학 통변술 설진관 추명가 해설 페이지 103입니다. 2. 적천수 천미의 내용을 압축한 도표라 보시면 됩니다.맨 마지막 신약에 관성이 旺 하면 1. 인성용신 2. 인성이 약하거나 없다면 식상용신 3. 인성이 약하거나 없고 식상이 약하거나 없다면 비겁이 용신이 될 수 있습니다.적천수 천미는 일간과 월과 타 오행 간의 관계를 봅니다.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2..

이모저모 2024.11.18

사주팔자 명조 세우는 방식에는 입춘 기준, 동지 기준이 있습니다.

사주팔자는 전생의 성적표와 지금 살고 있는 삶에 대해 주어진 의무가 있습니다. 주어진 명조와 분석 이론은 다릅니다. 주어진 명조을 세우는 방식은 다수가 사용하는 입춘 기준과 소수가 사용하는 동지 기준이 있습니다. 입춘 기준과 동지 기준은 절기에서 나옵니다. 절기란, 태양의 황경(黃經)에 맞추어 1년을 15일 간격으로 24등분 해서 계절을 구분한 것입니다. 인터넷으로 보면 됩니다. 24절기가 나옵니다..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입니다. 공부하시는 선생님들 거의 모두가 사용하는 방식으로 입춘 기준입니다. 입춘을 기준으로 삼아 명조를 세우는 방식은 절입 기준입니다. ..

명리학 공부 순서 ④

선생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연락드립니다. 명리학 실무 교재(창조명리 서적) 공부 순서와 동영상 활용법 등 공부하는데 필요한 참고 사항에 대해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느 선생님께서 문의를 하셨네요... 긴 문자는 아니지만, 품은 내용은 깊고 넓습니다. 제가 정리해서 창조명리 블로그에 올린다고 해서요... 그럼, 명리학 공부에 대해 네 번째 썰을 풀어 보겠습니다. 명리학 공부 순서 ④ 11. 오행 음양오행에 대한 썰은 지금도 내려가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썰도 있습니다. ■ 대연수(大衍數)라는 책에는 “물에서 나온 용 혹은 큰 거북의 등에 여러 가지 무늬가 있었다고 합니다. 한 획은 길고 두 획은 짧았다고 합니다. 꼬리 근처에 흰 점 하나. 머리 근처에 보라색 점이 아홉 개, 왼쪽 어깨에 ..

명리학 공부 순서 ③

선생님 안녕하세요.질문이 있어서 연락드립니다.명리학 실무 교재(창조명리 서적) 공부 순서와 동영상 활용법 등 공부하는데 필요한 참고 사항에 대해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느 선생님께서 문의를 하셨네요... 긴 문자는 아니지만, 품은 내용은 깊고 넓습니다.제가 정리해서 창조명리 블로그에 올린다고 해서요... 그럼, 명리학 공부에 대해 세 번째 썰을 풀어 보겠습니다. 명리학 공부 순서 ③  8. 천명구도  성명의리지학(性命義理之學) 혹은 성리학(性理學) 혹은 주자학(朱子學)이라 합니다.조선에서 활발하게 꽃을 피운 성리학(性理學)은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과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이 있습니다. 이 그림은 천명구도(天命舊圖)입니다.조선 중종 시절 정지운은 [태극도설太極圖說], [선천도先天圖] 등 여러 고서..

명리학 공부 순서 ②

선생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연락드립니다. 명리학 실무 교재(창조명리 서적) 공부 순서와 동영상 활용법 등 공부하는데 필요한 참고 사항에 대해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느 선생님께서 문의를 하셨네요... 긴 문자는 아니지만, 품은 내용은 깊고 넓습니다. 제가 정리해서 창조명리 블로그에 올린다고 해서요... 그럼, 명리학 공부에 대해 두 번째 썰을 풀어 보겠습니다. 명리학 공부 순서 ② 5. 논설(論說)과 사설(僿說)의 차이 논설(論說)은 어떤 주제에 대해 예를 들면 "미용실 아줌마는 외지 사람들과 잘 어울리더라. " 하며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조리 있게 설명하는 것을 말하며 사설(僿說)은 자질 구례한 논설(論說)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달력은 조선 후기에 칙령[勅令]으로..

명리학 공부 순서 ①

선생님 안녕하세요.질문이 있어서 연락드립니다.명리학 실무 교재(창조명리 서적) 공부 순서와 동영상 활용법 등 공부하는데 필요한 참고 사항에 대해서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느 선생님께서 문의를 하셨네요... 긴 문자는 아니지만, 품은 내용은 깊고 넓습니다.제가 정리해서 창조명리 블로그에 올린다고 해서요... 그럼, 명리학 공부에 대해 썰을 풀어 보겠습니다. 명리학 공부 순서 ① 1. 명리학 공부는 역사 공부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 명리학 공부는 역사 공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역사를 보면 청동기, 철기 시대에는 부족을 형성하여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영토에 대한 쟁탈전을 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후 국가가 만들어지면서 더욱 치열하게 전쟁을 했습니다. 전쟁 속에 천문을..

사주명리학 사주팔자와 일간의 성향 알아보기

누군가가 저에게 ‘파이팅’을 보냅니다. 감사합니다. 그래서 글을 남깁니다. 사주팔자는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사주팔자는 태어난 년, 월, 일, 시입니다. 지구에서 하늘을 관측한 결과물입니다. 년은 월을 포함하고, 일은 월에 포함되어 있고, 시는 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日)은 나(我)의 생일입니다. 사주팔자는 태어난 날(日)을 중요하게 보고 태어난 날(日)을 기준으로 잡습니다. 태어난 날(日)을 기준으로 부모님과 관계, 조상님과 관계, 자식과의 관계를 보기도 합니다. 하늘을 관측한 결과물을 문자로 표현하면 60갑자이며 상원갑자, 중원갑자, 하원갑자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문자의 종착지는 仁禮義智信입니다. 태어난 날(日)의 천간을 보면 木, 火, 土, 金, 水 중 하나에 속합니다. 태어난 날(日)의 천..

소소한 이야기 2024.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