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상론 4

사주명리학 강의 교재로서의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사주명리학 강의 교재로서의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23권이 출간된 후 최근 여기저기서 사주명리학 강의를 하시는 분들이 사주명리학 강의 교재를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으로 해도 괜찮으냐는 연락을 들었습니다. 편저자인 저의 입장에서는 더할 나위 없는 감사한 일입니다. 전해주시는 분들의 말씀에 의하면 이번 야단법석 실무대강 1,2,3권에는 사주명리학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음양오행의 개념, 강약개념, 다양한 용신 격국론과 조후론 그리고 자연물상이론이 전부 정리되어 있으며, 12운성과 12신살의 활용법에서부터 형충회합의 운용법 그리고 내정법까지 명리학에서 다루는 꼭 필요한 것들은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정리되어 있어서 더 이상의 강의 교재가 필요 없다는 극찬을 해주셨습니다. 이번에 ..

상론(회화사주)과 물상론(물상사주)

상론(회화사주)과 물상론(물상사주) 회화사주는 그렇다 치더라도, 물상론의 경우 간지의 속성만 조금 안다면 그리고 결과값이 이미 공개된 경우라고 하면 도사처럼 끼워넣는데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나 물상론을 적용함에 있어 무작정 오행 및 간지의 성정만으로 의미부여하는 것은 명리학에 있어서 상호관련성과 인과관계의 혼동의 오류입니다. 아무리 결괏값이 주어졌다고 하더라도 사고 실험적 글들은 물상론의 진의를 알지 못한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그것이 오컴의 면도날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해야 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물상사주와 회화사주의 아류작들이 너무 많아 보입니다. 회화사주는 야학신결에 실려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조후론과 육신론의 배합이 필요하고, 물상론은 육신론의 카테고리 속에서 간지의 성정과 신살의 변화를..

설진관 小考 2023.01.19

사주명리학 강의, 사주명리학 추천도서, 간지론, 진여명리강론2권 ~ 94페이지 까지

https://youtu.be/VLcNWv8Oirk 간지론 강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미트를 다운로드하여 코드를 입력한 후 참여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강의 공지는 다음카페 자연의 소리 알림방/ 다음 블로그 창조명리 공개강의/ 네이버 블로그 창조명리 공개강의/ 창조명리 홈페이지 고객센터를 보시면 됩니다. 진여명리강론 2권에 수록된 간지론은 사주명리학 통변의 핵심 도구라고 할 수 있는 천간과 지지에 대한 원리와 구성을 설명하고, 목차를 보시면 천간(天干)의 종합 추리, 간지오행(干支五行)의 특성과 인간(人間)의 길, 제 1장 갑목(甲木)의 종합추리라 해서 갑목(甲木)과 천간(天干)의 관계, 갑목(甲木)과 지지(地支)의 관계, 십간(十干)이 십간(十干)을 만났을 때 관계가 나와 있고요, 십간(十干)..

역학 간지 2021.09.01

간지론, 자연론, 물상론 등으로 불리는 명리학(사주명리학은 십간과 십이지지의 관계를 읽어내는 학문입니다.)

사주 명리학은 십간과 십이지지의 관계를 읽어내는 학문입니다. 그래서 사주명리학을 간지론, 간지학이라고도 합니다. 처음 간지론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은 60갑자론일 것입니다. 60갑자는 다양한 형태가 전해내려고 오고 있으므로 주변에서 많이 접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그 60갑자 이후에 천간 10개와 지지12개의 만남에 따른 간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노력이 많은 역학자들 사이에서 일어나면서 제 각각 실무에서 활용하기도 하도 혹은 제자들에게 전수하기도 해왔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간지학, 간지론이라고 하여 가장 정미롭게 다루고 있는 것은 신수훈 선생님의 진여명리강론 2권의 내용인 것입니다. 그리고 이 간지학이 일명 자연론, 물상론이라는 이름으로 강의되기도 한다. 나름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어서 ..

설진관 小考 2020.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