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의구조 2

야학신결 편저자 눈으로 본 야학신결 공부 방법(1)

창조명리에서 출간된 야학신결은 모 대학에서 강의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실무에 적용 가능한 기법으로 (12편) 구성되어 있습니다. 12편 중에서 제1편 명리학의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사주명리학과 실용성 역(易)이란 무엇인가역(易)의 활용사주의 내면 구조(궁위)사주와 대운, 세운(사주학의 통변 구조)사주명리학 통변을 위한 도구육신의 기본 개념 및 통변의 확장7개의 소 단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사주명리학 공부 1. 소 단위에서 2. 역(易)이란 무엇인가에서 역(易)은 日과 月입니다. 역(易)은 음양이며 이는 土가 중심입니다.  음과 양이 결합된 것이 '나'이다.土란 것은 사람(人)인 '나' 혹은 '物質'이다.土가 음양에서 또 하나로 자리 잡아 천지인(天地人) 삼재가 되는 것이다. 야학신결 페이지 2..

이모저모 2024.11.29

명리학의 구조, 사주명리학, 육효 등 명리학의 공부 방향은 다 다릅니다.

사주(명리)는 학문이요, 사주 외 나머지는 점(占)이라는 편견은 잘못된 것이다. 학(學) 따로 점(占) 따로 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이 둘은 같은 것이다. 사주 명리학과 실용성은 동일선상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사주 명리학은 실용 학문이다. 역(易)은 자연이다. 오행은 만물의 구성 요소이다. 음양은 오행의 원동력이다. 음양오행에 근거하여 경학(經學)을 배우며, 의술(醫術)도 익히며, 명리학(命理學)을 활용하여 길흉화복(吉凶禍福)까지 이르는 방대한 동양철학(東洋哲學)이 형성되어 지금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周易(주역)을 읽은 사람은 쉽게 동양철학(東洋哲學)의 원리(原理)와 응용(應用)을 이해할 수 있고 현재(現在)를 알고 미래(未來)를 예측함에 있어 거대한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절..

육효 2022.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