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연구 3

명리학 세계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명리학 세계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필자가 부산에서 동양역학, 명리학에 입문할 당시 부산 지역 사주 명리학자들의 분위기에는 사주명리학이라는 학문을 통해서 어떻게 하면 좋은 통변을 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었다. 그러므로 통변이리는 목표 의식이 분명하므로 좋은 통변을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되어왔다. 그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1]과 같다. [그림1] 명리학 연구(공부)------> 용신, 격국, 신살, 12운성 등 (과정) ------> 통변 (목표) 그런데 2010년 경 이래부터 전국 각 대학에서 명리학과 관련한 전공학과가 생기면서 통변력이 부족한 이들이 대거 강단으로 유입되었고, 그들에 의해 명리학이 학문이라는 점만 강조되면서 통변을 중시하는 현장 술사들을 경시하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명리학의..

설진관 小考 2023.08.10

명리학 이론에서 월률분야도와 지장간(월령인원도)는 다릅니다.

명리학 이론에서 월률분야도와 지장간(월령인원도)는 다릅니다. 지장간을 월령인원도라고 칭하기도 하므로 월령분야도와는 엄연히 분별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장간( 월령인원도)과 월령분야도의 구분없이 혼용되고 있는 것이 사계의 현실입니다.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 350쪽을 보시면, 설진관식 지장간(화토동궁, 수토동긍 / 지장간 (월령인원도) / 월률분야도 등 이상 3종류의 지장간 종류가 설시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명리학을 연구하시는 분들이 각종 명리학 도서를 보셨다거나 다른 스승을 찾아 공부하러 가시면 지장간( 월령인원도)과 월령분야도의 구분없는 사용하게 되는 것을 많이 목격하게 되실 것이고, 특히 월령분야도의 표로서 자평진전뿐 아니라 다른 명리학을 논하는 것이 일반입니다. 그러므로 야단법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