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교과서 2

천간(天干)의 간합(干合)에 대한 시원(始原)

천간(天干)의 간합(干合)에 대한 시원(始原) 청암 선생님께서 간합(干合)에 대한 질의를 하셨습니다. 그 아래 대원명리학님이 고.한동석 선생님께서 우주변화의 원리에서 표현했던 그림 파일을 올려주셨는데요, 그 그림은 한동석 선생님께서 처음 오성학(五星學)이 연구될 당시에 고인들의 사유(思惟)를 기록한 것이 아닌 오운(五運)이 육기(六氣)와 합일되어 오운육기론(五運六氣論)으로 자리 잡아 황제내경(黃帝內經)에 수록된 것을 기반으로 재생산된 것입니다. 그렇다 하여 그것이 틀렸다고 말씀드리지는 않겠습니다. 명리가(命理家)들 사이 간합(干合)에 대한 온갖 억측이 난무한 가운데 간합(干合)의 의미가 오염되어 가는 듯하므로, 이에 10 천간(天干)의 간합(干合)에 대한 시원(始原)을 알려드리지 않으면 안될 것 같다는 ..

설진관 小考 2021.10.21

(명리학 교과서) 사주명리학을 최단기에 완성하는 교과서라 할 수 있습니다.

신수훈 선생님의 진여명리강론 시리즈입니다. 사주명리학을 기초에서부터 대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들에게 필요한 이론들이 총망라되어 있어 현장술사, 강사, 교수 등 모든 이들에게 필독서로 여겨집니다. 많은 이들이 진여명리강론을 필독서로 읽어 학습하고 있으므로 사주명리학을 가르치는 강사, 교수님들께 필독을 권합니다. 이 책은 처자 인연법, 배우자 인연법, 사주명리학으로 알려진 신수훈 선생님이 창안하신 진여비결을 해설한 도서입니다. 한때, 박도사 인연법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습니다만 이는 제가 과거 pc 통신 하이텔에 인연법을 연재하면서 박도사 인연법이라고 명명하면서 생긴 실수입니다. 그 이후 잘못된 것이라며 오류를 잡아드렸지만 아직도 박도사 인연법이라고 잘못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다시 한번 바로 잡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