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강망 7

통변술을 익히면서 통변력을 확장하기 위하여...

통변술을 익히면서 통변력을 확장하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명리가들 사이에는 입문단계에서는 자평진전으로 입문하고, 중급단계에서는 적천수로 다듬고, 고급단계에서는 난강망(궁통보감)으로 마무리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 당시만 해도 통변법 많이 공개되지 않아 오로지 자평진전, 적천수, 난강망(궁통보감)에 집중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명리가들은 자평진전이나 적천수 중 하나만 학습하고는 바로 역술업으로 달려갑니다. 그렇지만 현실은 그리 만만치 않습니다. 결국 현업에서 은퇴하고 마는 것이 일쑤였습니다. 그래서 필자는 수십 년 전부터 명리가들에게 길을 제시했었습니다. 자평진전, 적천수, 난강망은 기본수에 해당하므로, 적천수를 안다면 굳이 자평진전없이고 통할 수 있고, 난강망(궁통보감)..

설진관 小考 2021.12.20

고전 명리학과 현대 명리학

고전 명리학과 현대 명리학 명리학에 입문한 후 한평생 갈고닦는 명리학은 주로 적천수,난강망, 자평진전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명리학을 우리는 고전 명리학이라고 일컷고 지금까지도 바이블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의 한국인들은 과거의 고전에서 논하던 단순한 길흉이나 이헌령비헌령식의 상담보다는 이제는 구체적인 영역으로의 해단을 희망하고 있고 역술 현장에서고 그에 부응하는 연구가 있어왔었습니다. 그러므로 그간 고전 명리학이라고 불리면서 제각각의 이론들로 형성된 것들도 이제는 정리된 고전 명리학이 필요한 시점이 도래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새로운 패더다임의 명리학이 우리들에게 필요한 시점이 되었습니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를 하면서 종적 횡적..

설진관 小考 2021.11.07

십간조후(十干調候) 공부, 난강망, 궁통보감을 한 페이지에 담았습니다.

십간조후(十干調候) 공부, 난강망, 궁통보감을 한 페이지에 담았습니다.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354 십간조후(十干調候) 공부입니다.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에 해당되는 일간(日干)이 어느 계절이 태어났느냐를 보고 일간(日干)이 살아 남기위해 무엇을 필요로 하느냐를 보는 것이 조후입니다. 인월(寅月)의 병화(丙火)가 살아 남기위해서는 수(水)가 있어야 합니다. 수(水)가 없으면 이슬비라도 있어야 합니다. 경일간(庚日干)이 인월(寅月)에 태어났다면 찬바람을 막는 큰 산이 필요하고 희신(喜神)이라고 하는 나무, 물이 있어야 하고 태양 빛이 있어야 합니다. 태양이 없다면 불이라도 있어야 합니다. 계수일간(癸水日干)이 자월(子月)에 태어났다면 태양이나 불이 필요하고 차순으..

역학 간지 2021.08.06

사주명리학 이론의 으뜸은 난강망(조후론)입니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매월 화상으로 사주명리학 강의를 무료로 진행하고 있습니다.(주관 다음카페 자연의 소리, 강사 설진관 선생님) 최근에 진행하는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은 우리나라 최고의 사주명리학자이신 현정 신수훈 선생님의 저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진여명리강론 시리즈에는 사주명리학 이론들이 대부분 실려 있습니다. 그중에서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에는 사주명리학 이론 중에서 가장 어려우며 사주명리학 대가들은 모두가 종횡으로 활용한다는 난강망(조후론) 이론 전부가 들어 있습니다. 난강망(조후론)은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354 ~ 400에 실려 있습니다. 난강망(조후론)이론은 최고의 비법입니다. 사주명리학 대가들은 모두 조후를 능통하게 활용하여 명조 분석을 하십니다. 진여명리..

이모저모 2021.04.06

고전 명리학과 현대 명리학

흔히 명리학의 5대 고전(혹은 보전)이라하면 연해자평, 명리정종,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을 일컫습니다. 여기서 더한다면 오행정기나 삼명통회를 더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현대 우리나라 명리학 4대 보전이라고 하면 저는 사주첩경 1~6권(이석영 저), 명리요강(박재완 저), 천고비전 사주감정법비결집(신육천 저),진여명리강론 1~5권(신수훈 저)를 서슴지 않고 손에 꼽습니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주변에서 명리학에 입문하는 경우 대부분 사주정설, 명리정종, 적천수 순이 주류이었는데, 1990년 중반부터는 입문자들이 자평진전을 시작으로 명리학에 입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자평진전은 서락오 평주가 아닌 심효첨 원문에 대한 해설이 충실한 것이면 좋을 겁니다. 그간 자평진전 번역서가 상당히 출시되었..

설진관 小考 2020.12.10

대학원에 진학하여 석박사 논문을 쓰려는 분은 반드시 학계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이론을 학습해야 합니다.

최근 동양학, 명리학에 대한 열풍과 더불어 동양학과 관련한 대학, 그리고 대학원으로의 진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듯합니다. 동양학과 관련한 전문학사, 학사 과정은 논문에 대한 부담이 전혀 없으므로 배우고 싶은 강좌를 선택해서 편안하게 배우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나 만일 대학원으로 진학하여 석박사학위에 관심이 있다면 전문학사나 학사과정에서는 장차 대학원에서의 논문 준비를 위한 학습이 선행되어야만 합니다. 대학원에서 작성하는 논문은 대부분 동양학과 관련한 기본적인 이론에 대한 고찰 혹은 고전에 대한 분석이 잘되어 있어야 합니다. 석박사 과정에서 주로 다뤄지는 논문 주제로 음양, 오행, 육신, 신살, 격국, 용신, 고전으로는 자평진전, 적천수, 삼명통회, 연해자평, 명리정종, 명리약언, 난강망(궁통보감)이 주..

설진관 小考 2020.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