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 3

실용육효학 점(占)에 필요한 육효이론(1)

실용육호학 내용(본문) 중에서 –대자연의 기운을 간지(干支)로 표출하고, 명리에 대한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육효점(占) 괘반의 구성을 습득하셔야 점(占)이 됩니다.(실용육효학 페이지 77 – 창조명리 유튜브 동영상) 대자연의 기운을 간지로 표출한 도표는 페이지 38에 실린 육십갑자(六十甲子)를 말합니다. 페이지 28에 실린 역(易)의 기초에 실린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음양(陰陽)과 오행(五行), 천간(天干), 지지(地支), 육십갑자(六十甲子), 공망(空亡), 합(合), 충(冲), 형(刑), 파(破), 해(害)는 명리에 대한 기초 이론들입니다. 육효는 주역의 괘(卦)를 사용합니다. 주역의 괘(卦)는 페이지 53, 65에 나옵니다. 역(易)의 기원 및 발전된 과정은 실용육효학 1장에 나옵니다. 육효점(..

육효 2022.05.19

동양적 사고의 시원(始原)

동양학(東洋學)이 세상 모든 현상을 완연하게 설명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세상 모든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어 동양학은 많은 가치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동양학에 열광하면서 궁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동양학(東洋學)을 궁구하는데 있어서의 접근은 동양적 사고(思考)에 기인하여야 할 것인데, 그 동양적 사고(思考)의 시원(始原)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그리고 천부경(天符經)에 대한 신뢰와 이해가 그것입니다. 설진관 드림

설진관 小考 2020.11.02

역학의 뿌리는 하도와 낙서입니다.

역학의 뿌리는 하도와 낙서입니다. 이 근원적 배경을 이해하지 못할경우에는 역학이론이 옆길로 빠지기 마련입니다. 명리학을 연구함에 있어서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스스로 주장하는 이론이 장래에 비판을 받을 경우 하도와 낙서 등 배경적 지식으로 설명되면서 납득되어야 합니디. 이론의 전개는 조심스러워야하고, 설 익은 과실처럼 신비주의로 빠져 근본이 흔들려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설진관...

설진관 小考 2020.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