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겁 2

사주명리학 육신 공부(인수, 견겁, 식상, 관성, 재성에 대한 사주명리학 기초 육신 공부)

진여명리강론 1권 페이지 193 육친 화현법 1. 인수 1) 정인의 운기 작용 인수는 나를 낳아 먹이고 가르치며 기르는 양식과 운기 작용이니, 어려서는 어머니의 사랑이고 젖이 되며, 자라서는 지식이 되고 경험이 된다. 인수는 문서, 학문, 교육이 되며 부모나 스승으로부터 사랑과 재능과 인격 수양의 정도를 가르침 받는 은혜이다. 2) 편인의 운기 작용 편인은 계모, 유모가 되는 것이다. 치우친 지혜, 학문, 교양, 명예가 되는 것이며, 편인을 효신살(일명 올빼미살)이라고 한다. 3) 인수의 작용 변화 정/편 인수가 혼잡되면 모외유모(母外有母)로 어머니 외에 어머니가 있다. 인수가 형살이면 어머니가 재난을 겪어 본다. 인수가 3자 이상이면 조부가 이복형제가 있다. 2. 견겁 1) 비견의 운기 작용 가정적으로..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명리학 공부 방법 소개)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진여명리강론 시리즈 일주 공부 쉽게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2020년 3월 7일 오후 9시 40분을 만세력 앱으로 들여다보면 庚子年 己卯月 己酉日 乙亥時입니다. 음양, 오행, 오행의 상생, 오행의 상극, 일간을 기준으로 해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본원의 천간 글자인 己土를 기준으로 잡고 오행의 상생을 봅니다. 己土는 土입니다. 土를 기준으로 오행을 보면 土, 金, 水, 木, 火 순서로 상생이 됩니다. 金은 식상, 水는 재성, 木은 관성, 火는 인성이 되며 본원과 같은 土는 비겁이 됩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184 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을 보면 견겁 : 탈재지신 - 경쟁하고 동조하는 것 상식 : 투자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