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2) 사주명리학 공부하면서 많은 개운법을 알게 되지만 스쳐지나가게 되었습니다. 비겁이 많은 사주는 보살심을 가져야 한다고 합니다. 식상이 많은 사주는 배움을 먼저 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렇듯이 개운도 가까이 있는데 놓치면서 살아갑니다. 명리학은 경학, 사주, 의술로 크게 나누어진다고 배웠습니다. 가지고 온 그릇과 개운은 모두 인예의지신이었습니다. 오늘도 웃는 하루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소소한 이야기 2022.07.23
사주명리학으로 본 사주팔자 통변술 사주명리학으로 본 사주팔자 통변술 오래된 명조입니다. 통변이유를 연구해보세요. 1932. 양. 1. 8. 辰時, 坤命 丙 戊 辛 辛 辰 辰 丑 未 59 49 39 29 19 9 丁 丙 乙 甲 癸 壬 未 午 巳 辰 卯 寅 아주 오래된 명조입니다. 이 사람은 3번 혼인하여 3형제를 두었습니다. 그런데 아들을 낳을때 마다 남편과 사별했습니다. 장남은 壬辰생, 차남은 戊戌생, 막내는 癸卯생이었습니다. 그 이유를 토론 연구해보세요. 이 사주의 성격이나 적성을 논하지 마세요. 이 사주에게 있었던 사건을 논하는 토론만 당부드립니다. 이런 것들에 대한 통변을 해보면서 명리학의 통변실력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고, 이것이 명리학 통변의 진수입니다. 그리고 개운법을 알게되는 것입니다. 추명가90 상관견관 득자별부 애비없는 자.. 설진관 小考 202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