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 초급3(육신조견표 만들기, 육신이란) 19

육신 구조도를 알면 나와 인연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임금은 지혜를 신하는 인과 의를 백성은 예를 갖추어야 신이 형성되어 부국강병 된 나라에서 평안을 느끼게 된다고 봅니다. 명리학의 큰 틀은 본문을 다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인예의지신은 명리이고 그 속에 사주명리를 알아야 합니다. 자신의 본문을 알고 실력을 갖추고 아는 것을 삼당자에게 말해야 합니다. 육신(친)배치도를 알면 육신(친)구조도를 보고 나를 기준으로 형성된 혈연관계와 사회적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조상,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친인척과 나의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육신(친)구조도는 남명 사주와 여명 사주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조상님의 덕이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재산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자식의 효를 알 수 있습니다. 명리와 사주명리의 결론은 명리학으로 사..

육신 조견표로 본 癸水(계수)의 육신

육신 조견표로 본 癸水(계수)의 육신 동양적 사고의 출발은 단군입니다. 제사장과 통치자는 한 사람에게 주어진 임무였습니다. 책력을 사용하여 비가 안 오면 기우제를 비가 많이 오면 기청제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책력 [冊曆] - 천제를 관측하여 해와 달의 운행이나 월식, 일식, 절기를 적어 놓은 책] 책력의 구성은 음양, 오행이며 60갑자를 사용했습니다. 선현들은 세상의 이치를 아는 방법으로 사용했으며 누구나 태어나면서 사주팔자를 가집니다. 사주명리학은 일반적, 보편적 학문이며 동시에 점단도 가능합니다. 학(學)과 술(術)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는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은 사주명리학 통변바이블입니다. 누구나에게 있는 사주팔자의 구성은 천간, 지지, 지장간입니다. 현정 신수훈 선생님의 저서 진여명리강..

사주명리학 기초 이론 中 육친 조견표 만들기

사주명리학 기초 이론 中 육친 조견표 만들기 1. 오성(五星) -> 오행(五行) -> 십간(천간)으로 나누어졌습니다. 십간(천간)의 구성은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입니다. 甲, 丙, 戊, 庚, 壬은 양(陽)이고 乙, 丁, 己, 辛, 癸는 음(陰)입니다. 2. 사계절을 음양(陰陽)으로 나타낸 그림입니다. 십이지지(지지)의 구성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입니다. ​ 3. 십간(천간)이 십이지지(지지)를 만나 60갑자가 만들어 집니다. 4. 나(我)를 기준으로 본 육신의 생(生)과 극(剋) 도표를 다시 보면, 나(我)를 생하는 것(生)으로 인성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인성은 편인과 정인이 있습니다. 나(我)를 억제하는 것(剋)으로 관성이라고 되어 ..

육신 구조도는 육친 조견표를 보면 쉽게 보입니다.

사주팔자는 전생의 결과이며, 다음 생의 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개인의 부모님, 형제, 조상(인연) 등, [야학신결 페이지 25쪽 사주내면의 구조에서] 여러 가지가 정해져 있습니다. 년주는 조상, 월주는 부모, 형제(친가), 일주는 나, 배우자, 시주는 자식, 배우자(처가, 시댁)라 되어 있습니다. 선천적으로 이미 정해진 인연입니다.(나를 중심으로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할머니, 할아버지,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등) 사주명리학 이론에서 육신 구조도를 보시면 됩니다. 후천적으로 맞이 하는 인연들도 있습니다. 사회적 인연관계를 말합니다. 친구, 선생님, 이웃, 직장 관계에서 맺은 인연 등, 인연은 선천적 인연과 후천적 인연이 있습니다. 배우자의 인연은 '선택과 의지'가 필연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천간 체성론

간지 응용 추리(干支 應用 推理) 간지란 천간, 지지를 말합니다. 천간이란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지지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입니다. 2020년 5월 27일 오후 12시 22분을 만세력 앱으로 봅니다. 도표를 이용해서 보겠습니다. 시 일 월 년 임 경 신 경 오 오 사 자 경자년 신사월 경오일 임오시입니다. 명리학은 간지로 구성되어 간, 지를 알아야 합니다. (음양, 오행에 대해 먼저 학습을 하시면 훨씬 도움이 됩니다.) 간은 천간으로 위에서 쓴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를 말합니다. 지는 지지를 말하고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를 말합니다. 천간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된 진..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명리학 공부 방법 소개)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진여명리강론 시리즈 일주 공부 쉽게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2020년 3월 7일 오후 9시 40분을 만세력 앱으로 들여다보면 庚子年 己卯月 己酉日 乙亥時입니다. 음양, 오행, 오행의 상생, 오행의 상극, 일간을 기준으로 해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본원의 천간 글자인 己土를 기준으로 잡고 오행의 상생을 봅니다. 己土는 土입니다. 土를 기준으로 오행을 보면 土, 金, 水, 木, 火 순서로 상생이 됩니다. 金은 식상, 水는 재성, 木은 관성, 火는 인성이 되며 본원과 같은 土는 비겁이 됩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184 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을 보면 견겁 : 탈재지신 - 경쟁하고 동조하는 것 상식 : 투자지신..

사주명리학 공부에서 음양, 오행 그리고 육신, 육친 공부 방법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사주명리학과 인연법 진여비결 해설 사주 명리학 통변술 설진관 추명가 해설 진여명리강론 시리즈 모든 역학서에서는 음양, 오행을 강조합니다. 오행에 대해 봅니다. 오행은 木, 火, 土, 金, 水를 말합니다.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32~42, 37~64 사주명리학과 인연법 진여비결 해설 ~39 오행에 대해서는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98~125 만세력 앱을 클릭해서 2020년02월08일 오후 13시56분을 입력하고 남자 혹은 여자를 선택합니다. 8日 이고 만세력 앱으로는 '辛巳'日 입니다. 庚 그리고 辛은 오행 중에서는 '金'을 나타냅니다. 본원 기둥의 위 글자 '辛'을 日干이라고 합니다. 역학 이론에서 주 그리고 객, 혹은 기준, 혹은 체 그리고 음양에서도 상대 이론이 있..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명리탐구8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명리탐구에서 '나를 인식', 음양, 오행, 간지(천간, 지지, 지장간), 간지체성, 육신(조견표)를 보았습니다. ​ 간지 응용 추리(干支 應用 推理) 甲일주 : 부모님 모시는 장남, 장녀가 많다. 乙일주: 음악이나 미술 좋아하고 처세에 능하며, 잘 뚫고 나간다. 丙일주 : 산만하게 펼쳐 놓는다. 만인의 태양이고 꽃이다. 이마가 넓다. 丁일주 : 실속을 잘 차리고 목소리가 크다. 정이 많고 말이 많다. 戊일주 : 사람이 모이고 묵은 소리 잘한다. 결단이나 소통이 부족하다. 己일주 : 단거리 명수요. 혼자 소리 박사다. 내면이 허하다. 庚일주: 잘 바꾸고 가르치려 든다. 숙살지기다. 군인이나 지도자가 많다. 辛일주 : 얼굴이 곱고 예쁘다. 날카롭고 자기 방어가 심하다. 壬일주 : 창의력,..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육친 조견표

명리학을 공부하려면 음양오행론도 중요하고, 길흉신살 격국용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핵심 원리는 육친법이다. 간지 오행의 생극 관계를 인간관계로 전환한 것이 육친법으로서... 그러면 육친이란 과연 무엇인가? 우주의 주인공인 자신을 기준하여 부모, 형제, 자녀, 처첩, 부군, 財官 관계를 육친이라고 한다.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181) ​ 정/편 육친 조견표(정/편 육친 조견표)는 진여명리강론 텝에 올려 드렸습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18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