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 초급2(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 26

사주명리학은 사주팔자를 알 수 있습니다.

⓵ 사주팔자 해석은 천간, 지지, 지장간으로 합니다. 천간, 지지, 지장간은 자연의 모습입니다. ⓶ 사주팔자 해석을 하려면 음양, 오행을 구분하셔야 도움을 받습니다. ⓷ 사주팔자 해석의 꽃은 육신이론입니다. 분석을 잘 하셔야 합니다. ⓸ 사주팔자 구성의 ‘좌표’를 공부해야 합니다. ⓹ 12운성과 12신살은 다릅니다. ⓺ 12신살과 12운성은 다릅니다. 음양, 오행이 무엇인지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떤 것인지를 암기 합니다. 십간과 십이지지를 암기합니다. 십간, 십이지지와 오행과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암기합니다. 지지장간에 있는 지장간을 꼭 암기합니다.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제일 중요한 사주의 내면구조(궁위)(야학신결 25쪽)를 꼭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출처 사주명리학..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5

동지(冬至)에서 하지(夏至)에 이르는 구간을 양둔(陽遁)이라고 한다. 하지(夏至)에서 동지(冬至)에 이르는 구간을 음둔(陰遁)이라고 한다. 동지(冬至), 하지(夏至)는 절기를 말합니다. 인터넷으로 보면 됩니다. 24절기가 나옵니다.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입니다. 역이라는 글자는 태양(日)과 달(月)에 의해 만들어 졌습니다. 사주팔자는 ‘나(我)’ 중심으로 자연 세계를 기호화해서 본 자연 철학입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사주팔자는 음양, 오행, 천간(십간), 지지, 지장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음양, 오행, 천간(십간), 지지, 지장간은 사주팔자를 해석하는 기호(..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4

2020년 6월 3일 오전 9시 3분 만세력입니다. 경자년 신사월 정축일 갑진시 입니다. 본원 기둥을 다시 봅니다. 본원 본원은 사주팔자에서 ‘나(我)’ 기준입니다. 정(丁) 천간(십간)입니다. 축(丑) 지지입니다. 식신(食神) 육신입니다. 계신기(癸辛己) 지장간입니다. 음양에서 본원 기둥의 천간(십간)에 해당되는 정(丁)은 음(陰)입니다. 오행에서 본원 기둥의 천간(십간)에 해당되는 정(丁)은 화(火)입니다. 오행의 상생에서는 본원 기둥의 천간(십간)인 정화(丁火)를 기준으로 잡습니다. 오행의 생(生)과 극(剋)의 예시를 보겠습니다. 오늘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기준은 바로 음(陰)에 해당되는 천간(십간)의 정화(丁火)입니다. 생(生)을 봅니다. 음(陰)에 해당되는 정화(丁火)가 생(生)하는 토(土)는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2020년 6월 2일 오전 8시 34분에 본 만세력입니다. (경자년 신사월 병자일 임진시) 오늘은 병자일입니다. (파란색으로 기둥을 만들었네요.) 천간으로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中 세 번째 해당되는 丙이고 지지로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中 첫 번째 해당되는 子입니다. 천간 丙을 보면, 음양에서 보면 양에 해당 됩니다. 양이 가지고 있는 특성, 성향, 소속 등 음양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90 – 명리의 기초 이론- ) 2. 오행으로는 火에 해당 됩니다. 오행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에 ‘+’ 를 추가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6월 1일은 乙亥日입니다. 만세력으로 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사주팔자에서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를 알면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등, 나와의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본원 기둥을 보면 乙亥日입니다. 천간 乙木이 기준입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육친 조견표로 육신 구조도를 만들어 봅니다. ■ 천간 乙木의 육친 조견표 6월 1일은 乙亥日(천간 :乙 /지지:亥) 정인 편인 비견 비겁 (겁재) 상관 식신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임해 계자 을묘 갑인 병사 정오 무진술 기축미 경신 신유 ■ 육신 구조도 ■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는 음양, 오행의 상생, 상극에서 나옵니다. 乙木을 기준으로 해서 乙木이 生하는 火는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1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1 우선 1. 태극, 음양, 오행이 무엇인지 2.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떤 것인지를 암기합니다. 3. 십간과 십이지지를 암기합니다. 4. 십간, 십이지지와 오행과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암기합니다. 5. 지지장간에 있는 지장간을 꼭 암기합니다. 6.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7. 제일중요한 사주의 내면구조(궁위)(야학신결 25쪽)를 꼭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설진관 선생님 글을 인용했습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에 실린 태극에 관한 내용입니다. 주자는 태극 도에 대해 이르기를 “ 모든 도리의 핵심이요. ” 퇴계 이황은 성인을 배우는 자는 태극 도에서부터 단서를 찾고, 소학과 대학공부에 힘쓰면 그 효과가 나타나게 되니 " 자연 조화의 지도력이며 만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