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명리학 3

고전 명리학과 현대 명리학

고전 명리학과 현대 명리학 명리학에 입문한 후 한평생 갈고닦는 명리학은 주로 적천수,난강망, 자평진전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명리학을 우리는 고전 명리학이라고 일컷고 지금까지도 바이블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의 한국인들은 과거의 고전에서 논하던 단순한 길흉이나 이헌령비헌령식의 상담보다는 이제는 구체적인 영역으로의 해단을 희망하고 있고 역술 현장에서고 그에 부응하는 연구가 있어왔었습니다. 그러므로 그간 고전 명리학이라고 불리면서 제각각의 이론들로 형성된 것들도 이제는 정리된 고전 명리학이 필요한 시점이 도래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새로운 패더다임의 명리학이 우리들에게 필요한 시점이 되었습니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를 하면서 종적 횡적..

설진관 小考 2021.11.07

고전 명리학과 현대 명리학

흔히 명리학의 5대 고전(혹은 보전)이라하면 연해자평, 명리정종,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을 일컫습니다. 여기서 더한다면 오행정기나 삼명통회를 더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현대 우리나라 명리학 4대 보전이라고 하면 저는 사주첩경 1~6권(이석영 저), 명리요강(박재완 저), 천고비전 사주감정법비결집(신육천 저),진여명리강론 1~5권(신수훈 저)를 서슴지 않고 손에 꼽습니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주변에서 명리학에 입문하는 경우 대부분 사주정설, 명리정종, 적천수 순이 주류이었는데, 1990년 중반부터는 입문자들이 자평진전을 시작으로 명리학에 입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자평진전은 서락오 평주가 아닌 심효첨 원문에 대한 해설이 충실한 것이면 좋을 겁니다. 그간 자평진전 번역서가 상당히 출시되었..

설진관 小考 2020.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