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은 다른 역학의 학문 중에서 통변력의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이 좋은 학문을 가지고 오로지 좋다 나쁘다 라고만 통변하면 좀 억울하지 않을까요? 그렇습니다. 명리학의 장점인 통변의 다양성을 연습하는 것입니다. 물론 처음부터 쉽지는 않겠지만, 주변에서 일어난 사건의 전개과정을 명리학적으로 추리해보면 어느새 한눈에 들어오기도 합니다. 명리학을 연구했다는 자들을 보면 상당수가 나무가 어쩌고, 불이 어쩌고, 격국이 어쩌고, 칠살이 어쩌고 등 하는 등 핏대를 올리다가도 정작에 통변에 있어서는 초보의 벽도 넘지 못하고 슬그머니 꼬리를 감추는 듯한 그런 모습들을 보입니다. 다시 말해서 실전이라 할 수 있는 통변의 영역에서는 초보와 고수의 분별이 없다는 것이 역학계의 큰 문제점이 되는 것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