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경 3

天符經(천부경)

天符經(천부경) 一始無始一 析三極 無盡本 일시무시일 석삼극 무진본 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一積十鉅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 일적십거 無匱化三 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무궤화삼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 大三合六生七八九 대삼합육생칠팔구 運三四成環五七 一妙衍萬往萬來用 운삼사성환오칠 일묘연만왕만래용 變不動本 本心本 太陽仰明 변부동본 본심본 태양앙명 人中天地一 一終無終一 인중천지일 일종무종일

설진관 小考 2022.08.05

글자(글字)에는 소리글과 뜻글자(字)를 말하고, 소리 글은 양(陽), 뜻글자(字)는 음(陰)입니다.

2021년 10월 9일(한글날) 사주명리학 인터넷 무료 강의 시간에 설진관 선생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1443년에 훈민정음(訓民正音)이 만들어지고 1446년에 훈민정음(訓民正音)이 반포가 되었습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이 만들어질 때 언문(諺文)학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신숙주 어른과 정인지 선생 이런 분들이 주축이 돼서 만들었다고 하는데 나중에 이것이 최만리 등 이런 분들이 상소를 올려 반대를 해서 시행이 되니 안 되니 하다가 시행이 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출처 네이버 사전) 훈민정음(訓民正音)이 만들어지고 반포됨으로써 우리 입장에서는 뜻글자가 아니라 소리글자가 완성이 되었기 때문에 한자(漢字)에 붙어있는 소리 글이 어떻게 ..

동양적 사고의 시원(始原)

동양학(東洋學)이 세상 모든 현상을 완연하게 설명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세상 모든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어 동양학은 많은 가치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동양학에 열광하면서 궁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동양학(東洋學)을 궁구하는데 있어서의 접근은 동양적 사고(思考)에 기인하여야 할 것인데, 그 동양적 사고(思考)의 시원(始原)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그리고 천부경(天符經)에 대한 신뢰와 이해가 그것입니다. 설진관 드림

설진관 小考 20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