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 9

사주팔자(년, 월, 일, 시)의 의미를 아시나요?

태어나면서 정해지는 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음양이 무엇인지? 오행이 무엇인지? 하늘의 항성과 행성과 해와 달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을 먼저 습득되어야 합니다.항성은 별이라 존재로 빛을 내지만, 행성은 해와 달의 관계에서 빛을 냅니다.별은 고정되어 있고 북극성을 기준으로 북두칠성의 꼬리별이 시간에 따라 움직이며 행성도 태양과 달의 시간과 빛을 받아 어느 공간에서 빛을 냅니다.   선현들은 하늘의 움직임을 보고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이를 사주팔자에 담아 감당해야 하는 일과 주어진 일이 있다고 합니다. 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 년은 무엇을 의미할까요?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 월은 무엇을 의미할까요?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 일은 무엇을 의미할까요?사주팔자를 분석하기 위해 시는 무엇을 의미할까..

소소한 이야기 2025.03.13

현대 명리학의 연구

명리학의 발달 과정에서 오행으로 점단 했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으로 인해 모든 학문은 좀 더 상세하게 좀 더 구체적으로  파고 들어가는 것입니다. 장영실은 혼천의로 천문을 관찰하여 별들의 움직임과 오성의 움직임을 알게 되고 음양과 오행을 구분합니다. 현재 명리학을 공부하는 우리들은 음양이 무엇인지, 오행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고 봅니다. 왜냐면 진화 및 발달을 했으니 구체적인 해석의 길이 열렸기 때문이라 봅니다. 지지는 별의 움직임입니다. 28수와 연관이 되며 그 관계를 현무, 청룡, 주작, 백호라 합니다. 천간은 오성와 오기의 움직임을 붙여 오행이라고 합니다. 오행의 진화된 모습이 십간입니다. 십간으로  통변의 꽃이라 하는 육신이론이 나옵니다. 지지 寅은 육신이 아닙니다. 선현들..

소소한 이야기 2024.10.24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하기(4)(년주를 조상궁, 월주를 부모/형제궁, 일주를 나/배우자궁 시주를 자식궁이라 합니다.)

태양계의 생명체로서 변화법칙(變化法則)을 인간에게 적용시켜 탄생, 변화의 현상이 어떠한 것인지를 탐구하는 학문이며 또한 변화를 읽는 실용학이며 이를 명리학이라고 합니다. 태양계를 변화를 읽어내는 방법으로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시리우스 별자리가 태양신전 기념비 끝에 걸리는 때를 기준삼아 다시 시리우스 별 자리가 그 자리에 올 때를 1년이라 이 기간을 12개월로 나누고 1개월을 약 30일로 나누고 1일을 24시간으로 나눕니다. 지구와 행성과 별들의 무리를 표현하는 것으로 간지(干支)라 합니다. 행성을 목, 화, 토, 금, 수라 하고 음양으로 분류하여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라 이름하고 천간(天干)이라고 합니다. 별들의 무리가 있는 방향들을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천간(天干)은 행성이고 십이지(十二支) = 지지(地支)는 행성이 다니는 궤도)

출처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페이지 481 천간(天干)에는 십간(十干)이 있고 지지(地支)에는 십이지(十二支)가 있다고 하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천간(天干)과 십이지(十二支)는 명리학의 기본입니다. 천간(天干)은 하늘에 떠돌아다니는 행성이며 일정한 궤도를 가지고 움직인다고 했습니다. 일정한 궤도는 십이지(十二支)입니다. 천간(天干)은 행성이고 십이지(十二支) = 지지(地支)는 행성이 다니는 궤도라 했습니다. 木, 火, 土, 金, 水는 행성이며 진화하여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로 구분합니다.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는 행성이 다니는 궤도입니다. 명리학은 천간(天干)과 십이지(十二支) = 지지(地支)에 대한 많은 이론들을 분석하고 적용시켜 길..

육신 조견표로 본 癸水(계수)의 육신

육신 조견표로 본 癸水(계수)의 육신 동양적 사고의 출발은 단군입니다. 제사장과 통치자는 한 사람에게 주어진 임무였습니다. 책력을 사용하여 비가 안 오면 기우제를 비가 많이 오면 기청제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책력 [冊曆] - 천제를 관측하여 해와 달의 운행이나 월식, 일식, 절기를 적어 놓은 책] 책력의 구성은 음양, 오행이며 60갑자를 사용했습니다. 선현들은 세상의 이치를 아는 방법으로 사용했으며 누구나 태어나면서 사주팔자를 가집니다. 사주명리학은 일반적, 보편적 학문이며 동시에 점단도 가능합니다. 학(學)과 술(術)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는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은 사주명리학 통변바이블입니다. 누구나에게 있는 사주팔자의 구성은 천간, 지지, 지장간입니다. 현정 신수훈 선생님의 저서 진여명리강..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에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중요합니다.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에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중요합니다. 우선 1. 음양, 오행이 무엇인지 2.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떤 것인지를 암기합니다. 3. 십간과 십이지지를 암기합니다. 4. 십간, 십이지지와 오행과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암기합니다. 5. 지지장간에 있는 지장간을 꼭 암기합니다. 6.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7. 제일 중요한 사주의 내면구조(궁위)(야학신결 25쪽)를 꼭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사주명리학은 명리학의 용어와 1 ~7 까지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을 알면 볼 수 있습니다.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에서 중요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있습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페이지 127 ~ 129 제 1절 태극이 음양으로 나뉘고, 음양이..

역학 초급(1-3) 2020.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