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의예지신 2

육신 구조도를 알면 나와 인연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임금은 지혜를 신하는 인과 의를 백성은 예를 갖추어야 신이 형성되어 부국강병 된 나라에서 평안을 느끼게 된다고 봅니다. 명리학의 큰 틀은 본문을 다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인예의지신은 명리이고 그 속에 사주명리를 알아야 합니다. 자신의 본문을 알고 실력을 갖추고 아는 것을 삼당자에게 말해야 합니다. 육신(친)배치도를 알면 육신(친)구조도를 보고 나를 기준으로 형성된 혈연관계와 사회적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조상,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친인척과 나의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육신(친)구조도는 남명 사주와 여명 사주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조상님의 덕이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재산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자식의 효를 알 수 있습니다. 명리와 사주명리의 결론은 명리학으로 사..

명리학 기본이론 들여다보기(1)

서 론 인간의 자아 탐구 우주적인 자아 동학의 인내천(人乃天), 천부경의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 본성적인 자아 논어, 어진마음(惻隱之心),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원초적인 자아 원초자아는 배우고 익히지 않아도 본능적으로 생존을 위한 행위 인간적인 자아 당신은 정(情)을 중시하면서 그 정(情)을 절제할 수 있는가 현재적인 자아 상호 작용을 통해 현재자아에 대한 사고와 개념이 형성 의지적인 자아 사람들은 자유 의지로 자기의 삶을 선택하고 책임져야 한다. 일반적인 소망 자기만의 선택 의지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에 실린 서론입니다.(명리학 기본이론 들여다보기-1) ​ 저자 신수훈 선생님께서는 한학자(漢學者)입니다. 서론은 인문학 내용들이 많이 실려 있습니다. ​ 명리학 공부의 첫 걸음은 음양과 오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