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관계 3

사주명리학 인연법 이론으로 부부 인연과 인연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이별에 이별만 안고 살아가는 여인의 아픔)

사주명리학 인연법 이론으로 부부 인연과 인연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이별에 이별만 안고 살아가는 여인의 아픔 時 日 月 年 壬 丁 甲 癸 坤 寅 丑 寅 丑 이 명조는 壬子生을 만나 첫정을 주었으나 이별하고, 辛亥생과 잠시 인연하였지만 오래하지 못하였습니다. 다시 들어온 인연은 역시 壬子생(첫 사랑과 사람이 다름)을 만나 혼인을 하고 싶었으나 혼인까지는 못하고, 이어서 己酉生과 인연되어 오랜 동거를 했지만 역시나 이별하였습니다. 슬하에 자녀는 없습니다. 이 여인이 壬子생, 辛亥생, 己酉생과 인연하게된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궁리해보면 훌륭한 인연법 학습꺼리가 될 것 같습니다. 자 궁리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음카페 자연의 소리 '사주명리학 자유토론/문답'에 실린 글입니다. 설진관 선생님 감정 사례입니다.

역학 인연 2021.10.27

육신 구조도를 알면 나와 인연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임금은 지혜를 신하는 인과 의를 백성은 예를 갖추어야 신이 형성되어 부국강병 된 나라에서 평안을 느끼게 된다고 봅니다. 명리학의 큰 틀은 본문을 다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인예의지신은 명리이고 그 속에 사주명리를 알아야 합니다. 자신의 본문을 알고 실력을 갖추고 아는 것을 삼당자에게 말해야 합니다. 육신(친)배치도를 알면 육신(친)구조도를 보고 나를 기준으로 형성된 혈연관계와 사회적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조상,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친인척과 나의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육신(친)구조도는 남명 사주와 여명 사주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조상님의 덕이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재산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자식의 효를 알 수 있습니다. 명리와 사주명리의 결론은 명리학으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