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조견표 8

육친의 정/편 조견표의 다른 해석

소중한 사람에게 ‘내 편이 아니야’라는 말을 어느 날 들었습니다. 당연히 '무슨 소리야 난 네 편이야' 자신도 느끼지 못한 말을 듣는 순간 머리가 하얗게 변합니다. 혼란이 오는 동안 불편한 자리였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른 후 진실이었습니다. 머리로는 인정을 하고 가슴으로는 느끼지 못하는 대나무의 모습을 하는 저를 보게 되었습니다. 입으로 하는 말들은 두 종류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 오늘입니다. 겉으로 드러난 陽(하는 말들)의 모습은 가식 인지도 모른다. 마음이 가지는 陰의 모습이 진심이라는 생각 듭니다. 자신에게 소중한 사람과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관계는 다릅니다. 물론 사회에서 만나는 사람과의 관계가 더 소중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육친도 정/편을 나누는지도 모릅니다. 사주명리학..

소소한 이야기 2020.11.08

사주명리학 기초 이론 中 육친 조견표 만들기

사주명리학 기초 이론 中 육친 조견표 만들기 1. 오성(五星) -> 오행(五行) -> 십간(천간)으로 나누어졌습니다. 십간(천간)의 구성은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입니다. 甲, 丙, 戊, 庚, 壬은 양(陽)이고 乙, 丁, 己, 辛, 癸는 음(陰)입니다. 2. 사계절을 음양(陰陽)으로 나타낸 그림입니다. 십이지지(지지)의 구성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입니다. ​ 3. 십간(천간)이 십이지지(지지)를 만나 60갑자가 만들어 집니다. 4. 나(我)를 기준으로 본 육신의 생(生)과 극(剋) 도표를 다시 보면, 나(我)를 생하는 것(生)으로 인성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인성은 편인과 정인이 있습니다. 나(我)를 억제하는 것(剋)으로 관성이라고 되어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5

동지(冬至)에서 하지(夏至)에 이르는 구간을 양둔(陽遁)이라고 한다. 하지(夏至)에서 동지(冬至)에 이르는 구간을 음둔(陰遁)이라고 한다. 동지(冬至), 하지(夏至)는 절기를 말합니다. 인터넷으로 보면 됩니다. 24절기가 나옵니다.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입니다. 역이라는 글자는 태양(日)과 달(月)에 의해 만들어 졌습니다. 사주팔자는 ‘나(我)’ 중심으로 자연 세계를 기호화해서 본 자연 철학입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사주팔자는 음양, 오행, 천간(십간), 지지, 지장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음양, 오행, 천간(십간), 지지, 지장간은 사주팔자를 해석하는 기호(..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2020년 6월 2일 오전 8시 34분에 본 만세력입니다. (경자년 신사월 병자일 임진시) 오늘은 병자일입니다. (파란색으로 기둥을 만들었네요.) 천간으로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中 세 번째 해당되는 丙이고 지지로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中 첫 번째 해당되는 子입니다. 천간 丙을 보면, 음양에서 보면 양에 해당 됩니다. 양이 가지고 있는 특성, 성향, 소속 등 음양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90 – 명리의 기초 이론- ) 2. 오행으로는 火에 해당 됩니다. 오행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에 ‘+’ 를 추가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6월 1일은 乙亥日입니다. 만세력으로 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사주팔자에서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를 알면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등, 나와의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본원 기둥을 보면 乙亥日입니다. 천간 乙木이 기준입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육친 조견표로 육신 구조도를 만들어 봅니다. ■ 천간 乙木의 육친 조견표 6월 1일은 乙亥日(천간 :乙 /지지:亥) 정인 편인 비견 비겁 (겁재) 상관 식신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임해 계자 을묘 갑인 병사 정오 무진술 기축미 경신 신유 ■ 육신 구조도 ■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는 음양, 오행의 상생, 상극에서 나옵니다. 乙木을 기준으로 해서 乙木이 生하는 火는 ..

육신 구조도는 육친 조견표를 보면 쉽게 보입니다.

사주팔자는 전생의 결과이며, 다음 생의 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개인의 부모님, 형제, 조상(인연) 등, [야학신결 페이지 25쪽 사주내면의 구조에서] 여러 가지가 정해져 있습니다. 년주는 조상, 월주는 부모, 형제(친가), 일주는 나, 배우자, 시주는 자식, 배우자(처가, 시댁)라 되어 있습니다. 선천적으로 이미 정해진 인연입니다.(나를 중심으로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할머니, 할아버지,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등) 사주명리학 이론에서 육신 구조도를 보시면 됩니다. 후천적으로 맞이 하는 인연들도 있습니다. 사회적 인연관계를 말합니다. 친구, 선생님, 이웃, 직장 관계에서 맺은 인연 등, 인연은 선천적 인연과 후천적 인연이 있습니다. 배우자의 인연은 '선택과 의지'가 필연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명리학 공부 방법 소개)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진여명리강론 시리즈 일주 공부 쉽게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2020년 3월 7일 오후 9시 40분을 만세력 앱으로 들여다보면 庚子年 己卯月 己酉日 乙亥時입니다. 음양, 오행, 오행의 상생, 오행의 상극, 일간을 기준으로 해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본원의 천간 글자인 己土를 기준으로 잡고 오행의 상생을 봅니다. 己土는 土입니다. 土를 기준으로 오행을 보면 土, 金, 水, 木, 火 순서로 상생이 됩니다. 金은 식상, 水는 재성, 木은 관성, 火는 인성이 되며 본원과 같은 土는 비겁이 됩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184 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을 보면 견겁 : 탈재지신 - 경쟁하고 동조하는 것 상식 : 투자지신..

사주명리학 기초(역학 기초) 이론 공부는 태극, 음양, 오행, 육신(육친) 조견표까지 알아야 합니다.

우선 1. 오행이 무엇인지 2.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떤 것인지를 암기합니다. 3. 십간과 십이지지를 암기합니다. 4. 십간, 십이지지와 오행과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암기합니다. 5. 지지장간에 있는 지장간(야학신결 38쪽)을 꼭 암기합니다. 6.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

역학 초급(1-3) 2017.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