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갑자 2

실용육효학 점(占)에 필요한 육효이론(1)

실용육호학 내용(본문) 중에서 –대자연의 기운을 간지(干支)로 표출하고, 명리에 대한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육효점(占) 괘반의 구성을 습득하셔야 점(占)이 됩니다.(실용육효학 페이지 77 – 창조명리 유튜브 동영상) 대자연의 기운을 간지로 표출한 도표는 페이지 38에 실린 육십갑자(六十甲子)를 말합니다. 페이지 28에 실린 역(易)의 기초에 실린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음양(陰陽)과 오행(五行), 천간(天干), 지지(地支), 육십갑자(六十甲子), 공망(空亡), 합(合), 충(冲), 형(刑), 파(破), 해(害)는 명리에 대한 기초 이론들입니다. 육효는 주역의 괘(卦)를 사용합니다. 주역의 괘(卦)는 페이지 53, 65에 나옵니다. 역(易)의 기원 및 발전된 과정은 실용육효학 1장에 나옵니다. 육효점(..

육효 2022.05.19

사주명리학 기초 이론 中 육친 조견표 만들기

사주명리학 기초 이론 中 육친 조견표 만들기 1. 오성(五星) -> 오행(五行) -> 십간(천간)으로 나누어졌습니다. 십간(천간)의 구성은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입니다. 甲, 丙, 戊, 庚, 壬은 양(陽)이고 乙, 丁, 己, 辛, 癸는 음(陰)입니다. 2. 사계절을 음양(陰陽)으로 나타낸 그림입니다. 십이지지(지지)의 구성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입니다. ​ 3. 십간(천간)이 십이지지(지지)를 만나 60갑자가 만들어 집니다. 4. 나(我)를 기준으로 본 육신의 생(生)과 극(剋) 도표를 다시 보면, 나(我)를 생하는 것(生)으로 인성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인성은 편인과 정인이 있습니다. 나(我)를 억제하는 것(剋)으로 관성이라고 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