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신론 2

상론(회화사주)과 물상론(물상사주)

상론(회화사주)과 물상론(물상사주) 회화사주는 그렇다 치더라도, 물상론의 경우 간지의 속성만 조금 안다면 그리고 결과값이 이미 공개된 경우라고 하면 도사처럼 끼워넣는데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나 물상론을 적용함에 있어 무작정 오행 및 간지의 성정만으로 의미부여하는 것은 명리학에 있어서 상호관련성과 인과관계의 혼동의 오류입니다. 아무리 결괏값이 주어졌다고 하더라도 사고 실험적 글들은 물상론의 진의를 알지 못한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그것이 오컴의 면도날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해야 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물상사주와 회화사주의 아류작들이 너무 많아 보입니다. 회화사주는 야학신결에 실려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조후론과 육신론의 배합이 필요하고, 물상론은 육신론의 카테고리 속에서 간지의 성정과 신살의 변화를..

설진관 小考 2023.01.19

육신론 강의(통변술 확장을 위한 진여명리강론 4권에 수록된 육신론 강의)

(진여명리강론 2권은 2월부터 계속하기로 하고) 이번 강의는 지난 신수풀이법 시간에 언급해드린 바 있는 진여명리강론 4권에 수록된 육신론 부분을 점검해드리겠습니다. 명리학 통변의 중심이 되는 것이 육신입니다. 육신 통변을 활용하지 못하면 스토리를 엮어갈 수가 없습니다. 육신론이 가장 잘 정리된 진여명리강론(신수훈 저) 제4권의 111-247쪽을 유심히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1. 육신의 동정에 따른 개념을 구분을 하면서, 2. 육친의 작용과 변화에 따른 내용을 명확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3. 육친이 어느 곳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통변의 내용이 확장됩니다. 이런 것을 종횡으로 잘 적용하시면서 활용하시면 통변술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1. 일시 : 2022. 1. 22. (토) 오후 7~9시 (2..

공개강의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