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의상생 4

명리학 공부 육친법 적용하는 방법

명리학을 공부하려면 음양오행론도 중요하고, 길흉신살 격국용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핵심 원리는 육친법(六親法)이다. 육친(六親)은 과연 무엇인가? 우주의 주인공인 자신을 기준하여 부모, 형제, 자녀, 배우자의 관계, 더 나아가 사회적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육친(六親)의 기준은 나(我)입니다. 모年, 모月, 모日, 모時에 태어나 혈육 관계, 사회적 관계를 알 수 있는 기준은 태어난 일(日)의 천간입니다. 태어난 일(日)의 천간 丁火가 기준입니다. 丁火를 기준으로 음양, 오행의 상생과 상극을 적용한 후 육친법(六親法)을 적용하여 자신과 혈육, 사회적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육친법(六親法)을 직관할 수 있을 때까지 연습을 반복하셔야 합니다. 출처 : 진여명..

사주명리학 이론으로 명조 분석 방법 들여다보기(1)

(본서 명리론 사주는 연월일시를 좌에서 우로 표기했다. - 신수훈 선생님 글을 인용했습니다.) ​ ※ 명조를 보면서 명리학 이론들을 학습할 수 있는 사주명리학 교재입니다. 명조를 분석하려면 명리학 이론들을 아셔야 합니다. 위 명조는 남명으로 계미(癸未)년 기미(己未)월 병술(丙戌)일 기미(乙未)시입니다. 1. 일간 화(火)를 중심으로 자연 현상을 살펴봅니다. 2. 태어난 월의 조후를 살펴봅니다. 3. 일간의 강/약을 살펴봅니다. 4. 일간의 특성을 살펴봅니다. 5. 오행의 상생과 상극을 살펴봅니다. 6. 간지 합, 충, 삼합, 방합도 살펴봅니다. 7. 신살, 12신살, 포태도 살펴봅니다. 1. 화(火)를 자연 현상으로 살펴보자면 화다염상이요... ※ 화가 많아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 위..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2020년 6월 2일 오전 8시 34분에 본 만세력입니다. (경자년 신사월 병자일 임진시) 오늘은 병자일입니다. (파란색으로 기둥을 만들었네요.) 천간으로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中 세 번째 해당되는 丙이고 지지로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中 첫 번째 해당되는 子입니다. 천간 丙을 보면, 음양에서 보면 양에 해당 됩니다. 양이 가지고 있는 특성, 성향, 소속 등 음양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90 – 명리의 기초 이론- ) 2. 오행으로는 火에 해당 됩니다. 오행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에 ‘+’ 를 추가 ..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명리학 공부 방법 소개)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진여명리강론 시리즈 일주 공부 쉽게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2020년 3월 7일 오후 9시 40분을 만세력 앱으로 들여다보면 庚子年 己卯月 己酉日 乙亥時입니다. 음양, 오행, 오행의 상생, 오행의 상극, 일간을 기준으로 해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본원의 천간 글자인 己土를 기준으로 잡고 오행의 상생을 봅니다. 己土는 土입니다. 土를 기준으로 오행을 보면 土, 金, 水, 木, 火 순서로 상생이 됩니다. 金은 식상, 水는 재성, 木은 관성, 火는 인성이 되며 본원과 같은 土는 비겁이 됩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184 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을 보면 견겁 : 탈재지신 - 경쟁하고 동조하는 것 상식 : 투자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