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我)를 기준으로 잡고 ‘다르다’를 느낀다면 인정을 하는 방법과 외면을 하는 방법으로 나누어진다고 봅니다. ‘틀리다’를 느낀다면 정오(正誤)의 문제로 보고 개선을 위해 노력을 하지 싶습니다. 사주명리학 이론 中 정인, 편인, 비견, 겁재, 식신, 상관, 정재, 편재, 정관, 편관을 십신이라고 합니다.(十神이라고 합니다.) 태어난 일의 천간을 기준으로 해서 십신을 구분합니다. 오늘은 병진(丙辰)일 이고 천간은 병(丙)입니다. 丙火(병화)를 기준으로 도와주는 기운을 정인, 편인이라 하고 丙火(병화)가 밖으로 에너지를 발산하는 기운을 식신, 상관이라 하고 丙火(병화)를 극하는 기운을 정관, 편관이라 하고 丙火(병화)가 극하는 기운을 정재, 편재라 하고 丙火(병화)와 같은 기운을 비견, 겁재라 합니다. 丙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