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강 2

사주명리학 왕초보 공부 강의 소개(음양, 오행, 생극, 십간, 십이지지, 육신표출, 신강, 신약 등)

사주명리학 왕초보(기초) 공부 강의 소개(음양, 오행, 생극, 십간, 십이지지, 육신표출, 신강, 신약 등) https://cafe.daum.net/_c21_/bbs_read?grpid=aGvr&fldid=Pxv1&contentval=000Hyzzzzzzzzzzzzzzzzzzzzzzzzz&datanum=1114&regdt=20230104211840#none 자연의 소리(한국의 사주 명리학 역학의 메카) - Daum 카페 cafe.daum.net 사주명리학 왕초보(기초) 공부 강의 소개(음양, 오행, 생극, 십간, 십이지지, 육신표출, 신강, 신약 등) 링크를 열고 댓글을 달아야 합니다. 비회원은 회원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사주명리학 공부는 기초가 반입니다. 사주명리학 공부에 유용한 기초 강의를 소개합니..

야학신결(野學神訣)들여다 보기... 하나

야학신결(野學神訣)들여다 보기... 하나 사주명리학의 활용을 들여다보면 크게 희기(喜忌), 통변(通辯)으로 나누어집니다. 희기(喜忌)는 길흉(吉凶) 분석으로 명조, 대운, 세운에서 일간(日干)에게 吉에 해당되는 오행, 육신은 좋은 운이라 하고 凶에 해당되는 오행, 육신은 흉한 운이라 합니다. 야학신결(野學神訣) 페이지 25에 실린 역의 활용입니다. 1), 2)로 구분해서 짧은 글이지만, 그 뜻을 잘 이해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야학신결(野學神訣) 페이지 43에 실린 통변을 위한 기본 준비에 수록된 '간단 용신 정법'은 희기(喜忌) 즉 길흉분석을 위한 도구(체계)가 됩니다. 제 1장 '간단 용신 정법'만 아셔도 명조, 대운, 세운에서 희기(喜忌)를 알 수 있습니다. ​ ​ 예시를 보겠습니다. 기준을 日干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