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상 6

인성, 비겁, 식상, 재성, 관성에서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요?

일이 꼬여 있어서 풀어야 될 상황입니다.도움이 되는 분들을 만나는 날입니다. 시 일 월 년   대운    시 일 월 년기 무 임 갑   기        0  기 0 을 미 진 신 진   미        0  축 0 사  무엇을 사용해야 마음을 얻을 수 있겠습니다.꼬여있는 일을 풀 실마리를 어떻게 보십니까? 대부분 공부하는 명리학은 이미 가지고 온 사주 해석에 머물러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많은 세월을 지낸 고수님들은 관상과 명리학을 같이 사용합니다.재성의 문제라면 관상을 보면서 재백궁이 탁하거나 상처로 인해 재물의 문제라 보고 부부궁이 탁하거나 기타의 이유를 들어서 배우자의 문제라 읽는 것은 이미 드러나 있습니다. 명리학은 경학 + 한의학 + 사주명리학을 아울러 세상의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주..

소소한 이야기 2024.10.04

사주명리학 육신 공부(인수, 견겁, 식상, 관성, 재성에 대한 사주명리학 기초 육신 공부)

진여명리강론 1권 페이지 193 육친 화현법 1. 인수 1) 정인의 운기 작용 인수는 나를 낳아 먹이고 가르치며 기르는 양식과 운기 작용이니, 어려서는 어머니의 사랑이고 젖이 되며, 자라서는 지식이 되고 경험이 된다. 인수는 문서, 학문, 교육이 되며 부모나 스승으로부터 사랑과 재능과 인격 수양의 정도를 가르침 받는 은혜이다. 2) 편인의 운기 작용 편인은 계모, 유모가 되는 것이다. 치우친 지혜, 학문, 교양, 명예가 되는 것이며, 편인을 효신살(일명 올빼미살)이라고 한다. 3) 인수의 작용 변화 정/편 인수가 혼잡되면 모외유모(母外有母)로 어머니 외에 어머니가 있다. 인수가 형살이면 어머니가 재난을 겪어 본다. 인수가 3자 이상이면 조부가 이복형제가 있다. 2. 견겁 1) 비견의 운기 작용 가정적으로..

신수, 세운 통변은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그리고 창조명리 '동영상'(사주명리학 공부 동영상 안내)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485 ~ 마지막 페이지에 대한 사주명리학 공부 동영상입니다.(신수, 세운 통변) 1. 세운에서 재성운이 오면 통변은 어떻게 할까요? 관살운이 오면 통변은 어떻게 할까요? 2. 육신이 세운에서 합이 되어 들어오면 (1) 인수 세운이 합이 되어 들어오면, (2) 관살 세운이 합이 되어 들어오면, (3) 재성 세운이 합이 되어 들어오면, (4) 식상 세운이 합이 되어 들어오면, (5) 비겁 세운이 합이 되는 경우 사주명리학(신수) 통변에 대한 공부 동영상입니다. 3. 육신이 세운에서 충이 되어 들어오면 인수, 관살, 재성, 식상, 비겁 세운이 충이 되는 경우 사주명리학(신수) 통변에 대한 공부 동영상입니다. 4. 세운에서 궁위에 합, 충 되는 경우 통변에 대한 사주명리학 공부..

2021년 8월 14일 사주명리학 강의 후기/ 인수, 상식, 재성, 관살, 비겁(육신)은 사주명리학 기본 이론으로 통변과 격(格)에 활용됩니다.

지장간을 알아야 되는 이유를 알아봅니다. 첫째 격을 잡을 때 둘째 통변을 할 때 일간의 육신을 기준합니다. 상생과 상극을 알면 육신에 대한 이해가 됩니다. 상생은 인성과 식상이 됩니다. 상극의 이기다, 치다는 재성이 됩니다. 다스리다는 관성이 됩니다. 일상생활에서 오행의 사용은 가까이에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오행을 활용하시면 됩니다. 오행 상생, 상극관계에서 과한 경우에 대한 공부입니다. 오행별 지역 배치에 대한 공부입니다. 통변을 잘 하기 위해서는 인수, 상식, 재성, 관살, 비겁에 대해 잘 알아야 합니다. 인수에 대해서는 인간관계에 대해 볼 때에는 나를 길러준 어머니이시다. 인수가 많으면 어머니가 두 분 이상이거나 아버지가 많은 여인을 가까이 하게 된다. 인수는 문서이다. 상식은 주는 것이다. 베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