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 사례는 현정 신수훈 편저인 "진여명리강론“의 ”本夫難偕“편에 서술된 사주해단 사례입니다. 이 해단 사례 중 배우자 인연에 관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坤命] 시 일 월 년 丁 戊 丁 丁 巳 戌 未 丑 ※身太旺 官衰에 夫星入墓요 日時怨嗔에 生日 과숙이라 戊辰生 본부사별하고 재혼한 癸酉生도 이별한 뒤 庚午生을 만났어도 결국은 홀어미가 된 사주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생각※ 위 사례에서 戊辰生과의 인연, 癸酉生과의 인연, 庚午生과의 인연에 관한 사항을 “인연법 진여비결”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1.戊辰生과의 인연: “日主入庫하면 開庫定配한다”에 해당하는 배연으로 보았습니다. 이 사주의 日主가 戊土인데 日支의 戌이 戊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