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해석 6

사주명리학, 사주팔자 해석, 명리학 공부하기 좋은 책은 야학신결입니다.

사주명리학, 사주팔자 해석, 명리학 공부하기 좋은 책은 야학신결입니다.카페 경험담 탭에 올린 글입니다. 경험담을 담습니다. 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地支만 보겠습니다. 0  0   0   0亥 寅 辰 辰 巳年이 오면 寅巳 刑을 합니다. 일간에게 문제가 일어납니다. 1. 위 명조에서 辰辰이 있습니다.진여비결에 주중이자는 합충정배한다(30) - 8. 성격론과 진여비결에 공식이 있습니다.이미 명조에서 인연을 예고합니다.酉는 인연을 명조에서 제시를 하면서 丑의 인연은 저의 경험으로는 작용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삼합에서 한 글자가 빠지면 신수훈 선생님의 진여비결 공식 삼합일허이면 허일정배한다(31) - 8. 성격론과 진여비결에 공식이 있습니다. 2. 위 명조에서 辰辰이 있습니다.진여비결에 주중이자는 합충정..

이모저모 2024.10.31

인성, 비겁, 식상, 재성, 관성에서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요?

일이 꼬여 있어서 풀어야 될 상황입니다.도움이 되는 분들을 만나는 날입니다. 시 일 월 년   대운    시 일 월 년기 무 임 갑   기        0  기 0 을 미 진 신 진   미        0  축 0 사  무엇을 사용해야 마음을 얻을 수 있겠습니다.꼬여있는 일을 풀 실마리를 어떻게 보십니까? 대부분 공부하는 명리학은 이미 가지고 온 사주 해석에 머물러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많은 세월을 지낸 고수님들은 관상과 명리학을 같이 사용합니다.재성의 문제라면 관상을 보면서 재백궁이 탁하거나 상처로 인해 재물의 문제라 보고 부부궁이 탁하거나 기타의 이유를 들어서 배우자의 문제라 읽는 것은 이미 드러나 있습니다. 명리학은 경학 + 한의학 + 사주명리학을 아울러 세상의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주..

소소한 이야기 2024.10.04

사주명리학 공부, 사주팔자 해석, 매력 있는 여성

뮤지컬 싯다르타 왕자인 싯다르타는 궁을 빠져나와 농경제가 한참인 농부들 사이에서 한 가난한 백성과의 대화를 통해 늙고 병들어짐과 죽음을 목격하고 깊은 생각에 잠깁니다. 그 후 이웃 나라 공주와 결혼하여 사내아이가 출생하지만 가족과 왕궁을 뒤로한 채 깨달음을 위해 출가를 결심합니다. 내면의 자아를 완성하고자 끊임없이 수행하는 왕자 싯다르타와 마라 파피야스가 존재하는 탐진치(욕심, 노여움, 어리석음)의 대치를 그려내면서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이야기입니다."그대는 욕심이요 미움이요 욕망이요 두려움이며 의심이다. 그렇다 너는 나다" 대사에서 마라 파피야스가 무너집니다."눈을 뜨라, 깨어있어라"로 많은 인연들과 소통을 합니다. 가르침의 시작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모든 인연의 중요성과 연결을 강조하면서 막을 내립니..

소소한 이야기 2024.10.02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⑦)

명리학(命理學)은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른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座標)를 알아보는 동이족 고유의 학문입니다. 이를 문자로 표기하면 천간, 지지, 지장간입니다. 천간(天干)은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입니다. 지지(地支)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입니다. 지장간(支藏干)은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 페이지 350'를 보시면 됩니다. 명리학 속에 사주명리학 공부도 들어가 있습니다. 사주명리학 공부를 하면 사주팔자(四柱八字)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사주팔자(四柱八字) 해석의 중심은 ‘나’입니다. ‘나’를 기준해서 조상,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등 혈연관계를 알 수 있고, 사회적 인연 관계도 알 수 있습니다. 인적 관계 및 물..

소소한 이야기 2023.08.16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⑥)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⑥) 명리학(命理學)은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른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座標)를 알아보는 동이족 고유의 학문입니다.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른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를 문자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오성은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⑤)에서 알아보았습니다. 좌표를 문자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지지(地支)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입니다. 지지(地支)에는 장간(藏干)이라 해서 감추어진 천간(天干)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지장간(支藏干)이라고 합니다. 지장간(支藏干)은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 페이지 350'를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사주명리학 이론 중에 통근, 투출, 뿌리 등 주로 격국용신에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

소소한 이야기 2023.08.11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③)

명리학의 체계를 재정립한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전 3권'은 설진관 선생님의 저서로 2023년 7월에 출간되었습니다.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에 성좌의 성쇠에 대해 자세히 수록되어 음양오행의 개념과 천간, 지지의 근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명리학 체계를 구축하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명리학의 역사를 쉽고 구체적으로 서술하셨습니다. 명리학 공부의 초석은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이 되면 그 후 명리학 공부가 자연스럽게 연결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의 내용으로 나의 사주팔자 해석은 다 됩니다. 명리학 이론은 무궁무진하며 세상은 넓고 고수님은 많습니다.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전 3권'은 연결되는 명리학 이론이 아닙니다. 각 권의 명..

소소한 이야기 202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