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기초공부방법 5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음양오행의 암기와 이해)

출처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페이지 22 사람은 음(陰)인 혼(魂)과 양(陽)인 체(体)라 했습니다. 출처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페이지 23 세상은 음(陰)과 양(陽)으로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나’라는 개체가 음(陰)과 양(陽)으로 쌓여 있는 것이 바로 ‘나’이고 이것이 토(土)라 했습니다. 또 천지인(天地人) 삼재사상(三才思想)으로 인내천(人乃天)즉 ‘나는 곧 하늘이다’라는 사상으로 정리된다 하였습니다. 사주명리학을 공부하려면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에 대한 암기도 중요하고 이해도 중요합니다. 천지인(天地人)사상에서 천(天)은 선천 즉 숙명, 지(地)는 후천 즉 운명, 인(人)은 선택(=Choice)과 의지(Will)로 대비되기도 한다고 했습니다. 천지인(天地人) 삼재사상은 사주명식에 대비합니다...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에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중요합니다.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에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중요합니다. 우선 1. 음양, 오행이 무엇인지 2.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떤 것인지를 암기합니다. 3. 십간과 십이지지를 암기합니다. 4. 십간, 십이지지와 오행과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암기합니다. 5. 지지장간에 있는 지장간을 꼭 암기합니다. 6.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7. 제일 중요한 사주의 내면구조(궁위)(야학신결 25쪽)를 꼭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사주명리학은 명리학의 용어와 1 ~7 까지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을 알면 볼 수 있습니다.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에서 중요한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가 있습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페이지 127 ~ 129 제 1절 태극이 음양으로 나뉘고, 음양이..

역학 초급(1-3) 2020.06.09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3 2020년 6월 2일 오전 8시 34분에 본 만세력입니다. (경자년 신사월 병자일 임진시) 오늘은 병자일입니다. (파란색으로 기둥을 만들었네요.) 천간으로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中 세 번째 해당되는 丙이고 지지로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中 첫 번째 해당되는 子입니다. 천간 丙을 보면, 음양에서 보면 양에 해당 됩니다. 양이 가지고 있는 특성, 성향, 소속 등 음양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90 – 명리의 기초 이론- ) 2. 오행으로는 火에 해당 됩니다. 오행을 알면 그 사람이 가지고 온 선천적인 성향, 특성에 ‘+’ 를 추가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2 ■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6월 1일은 乙亥日입니다. 만세력으로 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사주팔자에서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를 알면 부모, 형제, 배우자, 자식 등, 나와의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본원 기둥을 보면 乙亥日입니다. 천간 乙木이 기준입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육친 조견표로 육신 구조도를 만들어 봅니다. ■ 천간 乙木의 육친 조견표 6월 1일은 乙亥日(천간 :乙 /지지:亥) 정인 편인 비견 비겁 (겁재) 상관 식신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임해 계자 을묘 갑인 병사 정오 무진술 기축미 경신 신유 ■ 육신 구조도 ■ 육친 조견표, 육신 구조도는 음양, 오행의 상생, 상극에서 나옵니다. 乙木을 기준으로 해서 乙木이 生하는 火는 ..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1

사주명리학 기초 공부 방법1 우선 1. 태극, 음양, 오행이 무엇인지 2.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 어떤 것인지를 암기합니다. 3. 십간과 십이지지를 암기합니다. 4. 십간, 십이지지와 오행과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암기합니다. 5. 지지장간에 있는 지장간을 꼭 암기합니다. 6. 십간, 십이지지, 지장간에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7. 제일중요한 사주의 내면구조(궁위)(야학신결 25쪽)를 꼭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설진관 선생님 글을 인용했습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에 실린 태극에 관한 내용입니다. 주자는 태극 도에 대해 이르기를 “ 모든 도리의 핵심이요. ” 퇴계 이황은 성인을 배우는 자는 태극 도에서부터 단서를 찾고, 소학과 대학공부에 힘쓰면 그 효과가 나타나게 되니 " 자연 조화의 지도력이며 만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