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궁 5

인성, 비겁, 식상, 재성, 관성에서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요?

일이 꼬여 있어서 풀어야 될 상황입니다.도움이 되는 분들을 만나는 날입니다. 시 일 월 년   대운    시 일 월 년기 무 임 갑   기        0  기 0 을 미 진 신 진   미        0  축 0 사  무엇을 사용해야 마음을 얻을 수 있겠습니다.꼬여있는 일을 풀 실마리를 어떻게 보십니까? 대부분 공부하는 명리학은 이미 가지고 온 사주 해석에 머물러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많은 세월을 지낸 고수님들은 관상과 명리학을 같이 사용합니다.재성의 문제라면 관상을 보면서 재백궁이 탁하거나 상처로 인해 재물의 문제라 보고 부부궁이 탁하거나 기타의 이유를 들어서 배우자의 문제라 읽는 것은 이미 드러나 있습니다. 명리학은 경학 + 한의학 + 사주명리학을 아울러 세상의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주..

소소한 이야기 2024.10.04

부부궁 인상도

부부궁 인상도입니다. 一. 부부궁(夫婦宮)과 인상론(人相論) 1. 부부궁(夫婦宮) 부위와 의미 (1) 夫婦位居魚尾號曰奸門(부부위거어미호왈간문)– 主部位(주부위) : 부부궁 자리는 어미와 간문이 주 부위다. (2) 天倉眉目鼻口印堂顴骨(천창미목비구 인당관골)- 應部位(응부위) : 천창 교외, 눈썹, 눈, 코, 입, 인당, 관골이 응하는 부위다. (3) 부부궁에서는 주로 배우자의 인연 길흉을 살핀다. (4) 부부궁에서는 남자는 처첩의 인연 길흉을 살핀다. (5) 부부궁에서는 여인은 부군의 인연 길흉을 살핀다. (6) 부부궁에서는 남녀 간 애정 생활 전반을 살핀다. 관상을 보면 사주가 보이고, 사주에서 관상이 보여집니다. 인상십이강명요는 명리론, 인간론이 융합된 대안심법(對案心法), 부(富)를 부르는 개운심법(..

관상 2022.06.29

사주명리학 무료 인터넷 강의 부교재(인상십이강명요)를 소개합니다.

명리학 강의 2021년 4월 24일(토) 오후 7-9시(2시간) 사주명리학 인터넷 강의는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입니다. 진여명리강론 시리즈를 소개합니다. 신수훈 선생님의 진여명리강론 시리즈입니다. 사주명리학을 기초에서부터 대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들에게 필요한 이론들이 총망라되어 있어 현장술사, 강사, 교수 등 모든 이들에게 필독서로 여겨집니다. 많은 이들이 진여명리강론을 필독서로 읽어 학습하고 있으므로 사주명리학을 가르치는 강사, 교수님들께 필독을 권합니다. 1차 강의, 2차 강의에 이어 3차 강의를 합니다.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제 4장 간지(干支)에 대한 공부 제 1절 천간지지(天干地支) 제 2절 간지 합충법(干支 合冲法) 제 3절 간지 합화법(干支 合化法) ~ 중략 제 5절 지지 암장간(地支..

공개강의 2021.04.20

아주 특별한 책! 인상12강명요(人相十二講命要) 출간안내합니다.

아주 특별한 책!(명리 서적 안내) 관상학과 명리학을 상호교차하여 실전에서 더욱 적중율을 더 높일 수 있는, 인상12강명요(人相十二講命要)(현정 신수훈 저) 출간안내 인상12강명요(人相十二講命要)는 흔히 볼 수 있는 관상학 책이 아니며, 흔히 볼 수 있는 명리학 책도 아니며, 흔히 볼 수 있는 인문학 책이 아닙니다. 인상12강명요(人相十二講命要)는 大 역학자 현정 신수훈 선생님께서 한 평생을 연구하고 경험한 명리학, 관상학과 지도자들의 덕목인 대학을 중심으로 한 인간론이 융합된 교재로서, 지도자로서 운명을 논하고 사람을 이해하는 방법론이 저술된 아주 특별한 책입니다. ▶ 사주명리학을 감정하는 경우, 재성이 파극당하는 경우 이것이 재물인지, 처인지, 부친인지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이때, 사주에서 재성이 ..

인상12강명요 목차

제1강 복덕궁에 대한 정론 / 1 一. 복덕궁(福德宮)과 인상론(人相論) / 2 1. 복덕궁(福德宮)의 부위와 의미 / 2 2. 복덕궁(福德宮) 논시결(論詩訣) / 2 3. 복덕궁(福德宮) 종합판단법(綜合判斷法) / 3 4. 복덕궁(福德宮) 관형찰색법(觀形察色法) / 5 二. 복덕궁(福德宮)과 명리론(命理論) / 7 1. 복덕(福德)이 좋은 사주 / 7 2. 복덕(福德)이 엷은 사주 / 8 3. 복덕(福德)을 부르는 인연 / 9 三. 복덕궁(福德宮)과 인간론(人間論) / 11 1. 복덕(福德)에 대한 정의(定義) / 11 2. 복덕(福德)을 위한 마음과 몸가짐 / 16 제2강 관록궁에 대한 정론 / 23 一. 관록궁(官祿宮)과 인상론(人相論) / 24 1. 관록궁(官祿宮) 부위와 의미 / 24 2. 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