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기본이론 2

명리학 기본이론 들여다보기(3)

육친 표출 원리는 간지 오행의 생극 관계를 인간관계로 전환한 것입니다. 오행 생극의 대응 법칙이 육친 생극법으로서 일간(日干)즉 자신을 기준하여 사주팔자의 육친 生剋을 직관할 수 있어야 사주 추명이 쉬워진다. 특히 육친 화현이 즉각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육친 生剋을 직관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하여 학습해야 한다.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p183) 육신표출법을 배우고, 간지의 음양을 구분하여 육친의 정편 구분법을 공부하여 예시 명조로 육신표출을 합니다. ​ ●육친 화현법 ㉠ 부모계에서는 어머니, 이모, 외조모, 외조부 등으로 확장하여 간명할 수 있습니다. 아버지, 고모, 백부, 조부, 조모, 증조부 등으로 확장하여 간명할 수 있습니다. ​ ※ 육친 활용은 인간관계를 간명합니다. ※ 육친 활용은 기운의..

명리학 기본이론 들여다보기(2)

일편 명리의 기초 이론 ● 태극에 대한 공부 태극 이론은 퇴계 이황 선생의 성학십도, 주자는 태극 도에 대해 이르기를 '모든 도리의 핵심이요 百世道術의 淵源이다.' (기본이론 ~97) ● 음양에 대한 공부 음양은 음양의 변화를 좇아 길흉을 예측하는 점서(占書)이면서도 음양의 이치에 근본을 둔 의리의 서(書)이고 도덕철학의 서(書)이다.(기본이론 ~ 106) ● 오행에 대한 공부 ㉠오행의 속성과 작용력은 다양하다 [목은, 화는, 토는, 금은, 수는] ㉡오행의 상생, 상극하며 변화한다 [상생법, 상극법] ㉢오행의 작용은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목을 자연현상으로 ~ 수를 자연현상으로] ㉣오행은 관계의 기준이 되는 주체의 관점이나 지각, 관념, 신념의 차이에 따라서 인식, 통변... ㉤오행의 관계 [목의 아들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