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공부하기좋은책 8

甲日干으로 살펴보자면,

1. 0 甲  0  0卯 子 卯 卯 사주팔자입니다.木이 너무 강왕하여 자라기 힘들다고 합니다.木이 밀집되어 가늘게 자라므로 오히려 부러지기 쉽다고 합니다.자라기 위해서는 火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진여명리강론 2권 페이지 45 2.丙 甲 0 0寅 寅 寅 0 사주팔자입니다.곧게 큰 나무로 자란다고 합니다. 일간이 강해서 火를 필요로 한다고 합니다.甲과 乙은 표리 관계라 그 근본은 한 가지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표리 관계란 겉면과 속면을 나타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3. 0 甲 辛 00 申 酉 0 사주팔자입니다.나무 주위에 金이 많으니 木이 힘들다고 합니다.위 사주에 寅生 인연을 맞이한다면 도움이 될까요?인연맞이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4. 0 甲 丙 00 午 午 0 사주팔자입니다.木日 火多에 水가 없다면 순..

소소한 이야기 2025.03.16

명리학에서 일 년의 기준, 화토동궁과 수토동궁, 일반대운수와 삼재대운수 새롭게 정립하기

1. 입춘 기준, 동지 기준으로 일 년의 기준이 달라집니다. 2. 화토동궁, 수토동궁 공부 3. 일반 대운수, 삼재 대운수 공부 https://youtu.be/NXnL7rlW8-g 명리학 공부는 기초가 중요합니다. 올바른 기초를 만들어야 튼튼한 체계가 세워집니다. 명리학 공부하기 좋은 책은 창조명리 서적을 추천합니다.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⑥)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⑥) 명리학(命理學)은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른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座標)를 알아보는 동이족 고유의 학문입니다.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른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를 문자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오성은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⑤)에서 알아보았습니다. 좌표를 문자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지지(地支)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입니다. 지지(地支)에는 장간(藏干)이라 해서 감추어진 천간(天干)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지장간(支藏干)이라고 합니다. 지장간(支藏干)은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 페이지 350'를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사주명리학 이론 중에 통근, 투출, 뿌리 등 주로 격국용신에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

소소한 이야기 2023.08.11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⑤)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⑤) 명리학(命理學)은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른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座標)를 알아보는 동이족 고유의 학문입니다.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른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를 문자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천간(天干)은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입니다. 지지(地支)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입니다. 지장간(支藏干)은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권 페이지 350'를 보시면 됩니다. 여기에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을 함께 공부하셔야 합니다. 명리학 속에 사주명리학 공부도 들어가 있습니다. 사주명리학 공부를 하면 사주팔자(四柱八字)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사주팔자(四柱八字) 해석의 중심은 ‘나’입니다. 시 일 ..

소소한 이야기 2023.08.10

명리학 공부하기(기초④)

명리학(命理學)은 해와 달의 움직임에 따른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座標)를 알아보는 동이족 고유의 학문입니다. 오성(五星)이 임(臨)하는 좌표(座標)에서 오성(五星)은 오기(五氣), 오행(五行)이라 하며 木. 火, 土, 金, 水입니다. 좌표(座標)는 지지(地支)라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입니다. 그래서 신수훈 선생님의 저서 '진여명리강론'에서 천시(시기, 때)를 알고 일을 도모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했습니다. 또한, 설진관 선생님의 저서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에서 인간에게 주어진 명운을 알 수 있고, 과거의 일을 알 수 있으며, 앞으로 진행되는 일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명리학(命理學)은 천문(天文..

소소한 이야기 2023.08.08

명리학 공부하기 좋은 책

성좌(星座)의 성쇠(盛衰) 즉 그들 간의 관계를 선현님들께서 보고 정리한 이론이 명리학(命理學)입니다. 명리학(命理學)은 운명의 이치를 공부하는 이론이 아닙니다. 명리학(命理學)은 세상의 이치를 공부하는 이론입니다. 명리학(命理學)은 그냥 사주팔자(四柱八字)를 해석하는 학문이 아닙니다. 사주팔자(四柱八字) 해석은 그 속에 조그마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을 뿐입니다. 하늘의 움직임을 보면서 정리를 하였으니 많은 이론들이 누 천년을 걸쳐 진화하고 그 속에 보이지 않았던 하늘의 움직임을 찾게 되면 다시 이론들이 탄생하면서 지금까지 내려왔습니다. 음양오행의 이론, 천간의 이론, 지지의 이론, 지장간의 이론, 생극제화의 이론, 육신의 이론, 12운성의 이론, 12신살의 이론, 근(뿌리)의 이론, 일간의 강약이론, 일..

소소한 이야기 202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