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공부하기좋은서적 2

명리학이란

하늘의 움직임을 읽겠다는 뜻입니다.하늘을 읽기 위해서는 별, 해, 달 등 관계를 아셔야 합니다.선현들이 남기신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보겠습니다.  조금 더 쉽게 보겠습니다.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니 움직인다고 보셨습니다.아래 도표는 천상열차분야지도를 12가지 구역으로 나눈 도표라 보시면 편합니다.도표 중간에 있는 국자모양이 북두칠성입니다.손잡이가 子방향에 오면 겨울, 동지에 해당됩니다.그러나 별들은 그 자리에 있습니다.북두칠성이 움직입니다. 북두칠성의 손잡이 부분 3개를 두병이라고 합니다.두병이 동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되면 목성이 나타나 보이게 되며, 남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되면 화성이 나타나 보이게 되며, 서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되면 금성이 나타나 보이게 되며,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되면 수성이 나타나..

명리학에서 일 년의 기준, 화토동궁과 수토동궁, 일반대운수와 삼재대운수 새롭게 정립하기

1. 입춘 기준, 동지 기준으로 일 년의 기준이 달라집니다. 2. 화토동궁, 수토동궁 공부 3. 일반 대운수, 삼재 대운수 공부 https://youtu.be/NXnL7rlW8-g 명리학 공부는 기초가 중요합니다. 올바른 기초를 만들어야 튼튼한 체계가 세워집니다. 명리학 공부하기 좋은 책은 창조명리 서적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