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과거에는 신분제도가 있어서 명리학은 높은 분들이 많이 사용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시대가 바뀌었습니다. 코로나 후의 시대로 생각하시면 편하지 싶습니다. 명리학은 이론적 학문이 아닙니다. 명리학은 실학입니다. 명리학은 생활학문입니다. 왜 그럴까요? 답은 음양오행입니다. 시대의 변화를 보고 통변을 하셔야 합니다. 인연법을 보겠습니다. 진여명리강론, 사주명리학과 인연법 진여벼결 해설 서두에 양포태를 적용한다는 글이 있습니다. 왜 양포태를 적용하시는지도 아셔야 합니다. 아래 명조에서 길한 인연을 찾아보겠습니다. 월지만 가지고 판단합니다. 0 甲 0 0 0 0 辰 0 0 丙 0 0 0 0 辰 0 0 庚 0 0 0 0 辰 0 0 戊 0 0 0 0 辰 0 0 壬 0 0 0 0 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