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탐구 8

역학(사주) 공부 비법-1

역학(사주)은 태어난 年/月/日/時를 가지고 전생에서 나에게 준 업(복) 그리고 현생에서 내가 해야 할 업(복)들이 들어있는 나만의 복 주머니입니다. 나만의 복 주머니에 무엇이 담겨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복 주머니를 하나씩 하나씩 보겠습니다. 이모저모(2) 탭의 -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명리탐구2 -를 보시면 명리학은 干支學이라고 했습니다. 干은 天干 그리고 支는 地支 그리고 지장간이라고 해서 숨어있는 천간이 있습니다. 天干은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地支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지장간은 - 진여명리강론 1권에 나와 있습니다.- ​ 위 사진 추명가에서 -재성입묘 그대 처자 인연멀어 어이하나 충자인연 하게되면 짧은인연 길어질수 - 라 했습니다. 다시 풀어 봅니다. 기준은 日..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명리탐구8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명리탐구에서 '나를 인식', 음양, 오행, 간지(천간, 지지, 지장간), 간지체성, 육신(조견표)를 보았습니다. ​ 간지 응용 추리(干支 應用 推理) 甲일주 : 부모님 모시는 장남, 장녀가 많다. 乙일주: 음악이나 미술 좋아하고 처세에 능하며, 잘 뚫고 나간다. 丙일주 : 산만하게 펼쳐 놓는다. 만인의 태양이고 꽃이다. 이마가 넓다. 丁일주 : 실속을 잘 차리고 목소리가 크다. 정이 많고 말이 많다. 戊일주 : 사람이 모이고 묵은 소리 잘한다. 결단이나 소통이 부족하다. 己일주 : 단거리 명수요. 혼자 소리 박사다. 내면이 허하다. 庚일주: 잘 바꾸고 가르치려 든다. 숙살지기다. 군인이나 지도자가 많다. 辛일주 : 얼굴이 곱고 예쁘다. 날카롭고 자기 방어가 심하다. 壬일주 : 창의력,..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명리탐구6(오행2)

五行은 상생하고 상극하며 변화한다. 오행의 다양한 속성과 물상은 서로 상생하고 상극하며 상비하는 작용을 통하여 무궁하게 변화한다. 상생법 木 生 火, 火 生 土, 土 生 金, 金 生 水, 水 生 木 상극법 木 剋 土, 土 剋 水. 水 剋 火, 火 剋 金, 金 剋 木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115~116) 오행의 작용은 상황에 따라 변한다. 木을 자연 현상으로 살펴보면(중요합니다!!!!!!) 즉, 木이 강왕한 경우, 木이 약한 경우, 水가 많은 경우, 火가 많은 경우, 土가 많은 경우, 金이 많은 경우, 木이 많은 경우 그 각 각 다 다릅니다. 火를 자연 현상으로 살펴 본 경우, 土를 자연 현상으로 살펴 본 경우, 金 그리고 水를 자연 현상으로 살펴 본 경우가 다 다르겠죠. (출처 진여명리..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명리탐구5(오행1)

‘오행(五行)에 대한 공부 고대인들이 우주 만물의 발생과 변화, 발전을 木, 火, 土, 金, 水라는 다섯 가지 물질 운동에 의하여 生하고 剋하면서 이뤄진다고 파악한 학설로서 동양 사상의 핵심이요. 근간이다.´ (↑출처 진여명리강론1권 기본이론 페이지 107) 木은 신생, 성장, 발육, 약진, 곡직(曲直)의 목 기운이다. 수(數)로는 3, 8木이고, 지역은 동방국가, 인체상은 간, 담, 신경 계통이고 청색이며 신맛이다. 성정은 측은지심, 인자, 은애, 정신, 의지, 생동, 의욕 木의 물상은 담대한 우두머리 기질의 양목은 대들보 같은 곧은 나무로.... 火는 번창, 무성, 치열, 염상(焱上)의 불기운이다. 수(數)로는 2, 7火이고, 지역은 남방국가, 인체상은 심장, 소장, 어깨, 순환기 계통이고 적색이며 ..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명리탐구4

음양은 아무리 강조를 해도 지나치지 않아요. 근원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소리에도 있구요, 우리가 행동하는 몸짓에도 있구요, 좋은 음악, 맛있는 음식, 멋진 풍경, 따뜻한 손의 감촉, 향기는 육감으로 느낍니다. 여섯 가지 인식대상을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이라고 해요. ​눈이 보려면 그 대상인 모양과 빛깔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을 '색(色)'이라고 해요. ​귀의 감각 대상인 소리를 '성(聲)'이라고 하고, ​코의 대상인 냄새를 '향(香)', ​혀의 대상인 맛을 '미(味)'라고 합니다. ​감각의 대상을 '촉(觸)', ​생각의 대상을 '법(法)'이라고 해요. 에너지의 원동력은 음양이랍니다. 좋은 기운(陰陽)을 받고 우리는 에너지로 쓰고 다시 밖으로 사용합니다. (첨부, 네이버 창조명리 블로그, 시간되시면 ..

진여명리강론으로 본 명리탐구2

태극, 음양, 오행을 들여다보면 간지입니다.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94 태극은, 끝이 없다 다함이 없다는 말이다. 태극은, 궁극적 진리로서 이치도 있고 동정도 있는 이다. 태극은, 사람의 궁극 또는 사람의 진리란 말로서, 사람의 최고 표준을 의미한다.) 干支는 天干, 地支, 支藏干입니다, 천간은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로 十干이라고 해요 (페이지 126) 지지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로 12地支라고 해요 (페이지 127) 지장간은 지지 속에 숨어있는 천간이라고 해요 (페이지 130) 꼭 천간,지지, 지장간 암기를 하셔야 합니다.!!!!!!!!!!!!!!!!!!!!!(필수 암기) 다시 간지를 보면 태극, 음양, 오행이 보이겠죠. 발산하는 기운은 木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