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육친 표출법에 대한 공부 ~ 2:00 2. 식상(食傷)에 대한 공부 [진여명리강론1권 페이지 205] 식상(食傷)은 밥이요, 옷이며 베풀어 주는 마음, 인정이 되고 넓은 가슴이 된다. 3. 여자분 사주에서 인성운이 오면 자식에서 어떤 일이 생길까 4. 육신의 정/편에 대한 공부 ~ 5:30 편관에 대한 공부 정관에 대한 공부 편재에 대한 공부 정재에 대한 공부 식신에 대한 공부 상관에 대한 공부 5. 진여명리강론 페이지 208 ~ 14:22 일반적으로 상관견관(傷官見官)은 위화백단(爲禍百端)이지만 이 또한 전체 상황을 살핀 다음에 결단해야 오판을 범하지 않을 것이다. 6. 월상 상관(月上 傷官)이 있는 명조에 대한 공부 ~ 17:20 7.상식(傷食)이 육친(六親)으로 장모를 타나내고 장모님을 모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