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성 6

사주명리학 공부의 첫 단계

105. 사주명리학에서 ‘의지’란 용어가 많이 나옵니다. ‘의지’에 대한 여러 갈래 질문) 관성이 많으면서 인성으로 통관하면 인성에 ‘의지’한다고 하고, 격국에서도 ‘의지’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사주명리학에서 ‘의지’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여러 갈래의 ‘의지’에 대해 잘 모르겠습니다. 답) 명조 주변에 많은 인성이 있다면 온갖 새들이 달려든 것이다. 인성은 나를 방해하는 것이다. 격국에서 말하는 의지는 내 의지와 관계없이 휩쓸려 가는 것이다. 내 의지와 관계가 없다. 격국의 환경은 내가 안하면 된다.  日支는 내가 타고 앉은 것이다. ‘신밧드의 양탄자’라고 야단법석 책에 나온다.(핵심) 질문) 日支의 ‘의지’는 본성인가요?  답) 내가 태어난 곳이 한국이네 이것이 일지다. 국적이다.격국이라는 것은 ..

이모저모 2024.11.04

인성, 비겁, 식상, 재성, 관성에서 무엇을 사용해야 할까요?

일이 꼬여 있어서 풀어야 될 상황입니다.도움이 되는 분들을 만나는 날입니다. 시 일 월 년   대운    시 일 월 년기 무 임 갑   기        0  기 0 을 미 진 신 진   미        0  축 0 사  무엇을 사용해야 마음을 얻을 수 있겠습니다.꼬여있는 일을 풀 실마리를 어떻게 보십니까? 대부분 공부하는 명리학은 이미 가지고 온 사주 해석에 머물러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많은 세월을 지낸 고수님들은 관상과 명리학을 같이 사용합니다.재성의 문제라면 관상을 보면서 재백궁이 탁하거나 상처로 인해 재물의 문제라 보고 부부궁이 탁하거나 기타의 이유를 들어서 배우자의 문제라 읽는 것은 이미 드러나 있습니다. 명리학은 경학 + 한의학 + 사주명리학을 아울러 세상의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주..

소소한 이야기 2024.10.04

사주명리학 육신 공부(인수, 견겁, 식상, 관성, 재성에 대한 사주명리학 기초 육신 공부)

진여명리강론 1권 페이지 193 육친 화현법 1. 인수 1) 정인의 운기 작용 인수는 나를 낳아 먹이고 가르치며 기르는 양식과 운기 작용이니, 어려서는 어머니의 사랑이고 젖이 되며, 자라서는 지식이 되고 경험이 된다. 인수는 문서, 학문, 교육이 되며 부모나 스승으로부터 사랑과 재능과 인격 수양의 정도를 가르침 받는 은혜이다. 2) 편인의 운기 작용 편인은 계모, 유모가 되는 것이다. 치우친 지혜, 학문, 교양, 명예가 되는 것이며, 편인을 효신살(일명 올빼미살)이라고 한다. 3) 인수의 작용 변화 정/편 인수가 혼잡되면 모외유모(母外有母)로 어머니 외에 어머니가 있다. 인수가 형살이면 어머니가 재난을 겪어 본다. 인수가 3자 이상이면 조부가 이복형제가 있다. 2. 견겁 1) 비견의 운기 작용 가정적으로..

신강사주 구분하는 명리학 이론

야학신결 들여다보기 ... 둘 사주는 누구나 다 가지고 세상에 나옵니다. 2020년 5월 26일 오후 1시 06분을 만세력으로 들여다봅니다. 時 日 月 年 庚 己 辛 庚 午 巳 巳 子 경자년 신사월 기사일 경오시입니다. 生日을 보면 기사(己巳)日입니다. 己土를 기준으로 해서 신강사주, 신약사주를 구분합니다. 위 명조는 신강사주입니다.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실린 제 2편 간단한 용신정법으로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식상과 재성은 길(吉) 작용을 합니다. 식신과 상관에 해당되는 辛金, 庚金은 하는 일, 사업적인 측면, 또는 에너지 발출하는 것 즉 연구하는 것, 발명하는 것, 아이디어 창출하는 것, 표현하는 것 등은 길(吉) 작용을 합니다. 재성도 길(吉) 작용을 합니다. 관성은 인성을 생하므로 반길반흉(半..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명리학 공부 방법 소개)

명리학을 꿈꾸는 명리학도를 위한 명리학 교재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 진여명리강론 시리즈 일주 공부 쉽게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2020년 3월 7일 오후 9시 40분을 만세력 앱으로 들여다보면 庚子年 己卯月 己酉日 乙亥時입니다. 음양, 오행, 오행의 상생, 오행의 상극, 일간을 기준으로 해서 육친 조견표를 알아야 합니다. 본원의 천간 글자인 己土를 기준으로 잡고 오행의 상생을 봅니다. 己土는 土입니다. 土를 기준으로 오행을 보면 土, 金, 水, 木, 火 순서로 상생이 됩니다. 金은 식상, 水는 재성, 木은 관성, 火는 인성이 되며 본원과 같은 土는 비겁이 됩니다. 출처 진여명리강론 1권 기본이론 페이지 184 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을 보면 견겁 : 탈재지신 - 경쟁하고 동조하는 것 상식 : 투자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