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의 속성과 작용은 다르다고 합니다.
자연계와 인체를 관찰하여 인식하고 경험한 것들의 요점을 오행별로 정리한 내용은 진여명리강론 1권에 실려 있습니다.
木은 측은지심이라고 합니다.
金은 수오지심이라고 합니다.
시 일 월 년
0 庚 甲 0
0 申 申 0
사주팔자도 책에 나옵니다.
金이 많은 가운데 木이 있습니다.
木의 기운이 잘 표현되겠습니까?
수양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木은 신맛, 인, 측은지심,
火는 쓴맛, 예, 사양지심
土는 단맛, 신, 성실지심
金, 水는 무엇일까요?
음양오행은 멀리 있지 않다고 합니다.
누군가는 측은지심을, 또 다른 이는 사양지심을 표현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슈퍼에 가면 신맛을 가진 과일, 쓴맛을 가진 과일, 단맛을 가진 과일 등 다 있습니다.
주변에 누군가가 단맛을 좋아한다면 사주팔자에 土가 많은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주변에 누군가가 짠맛을 좋아한다면 사주팔자에 水가 많은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주변에 누군가가 단 짠맛을 좋아한다면 사주팔자에 土와 水가 함께 있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음양의 움직임 가운데 완성 된 모습을 삼태극이라 한다고 합니다.
음양오행은 삶이라 생각됩니다.
명리학, 사주팔자 공부하기 좋은 책은 창조명리입니다.
'소소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甲日干으로 살펴보자면, (0) | 2025.03.16 |
---|---|
사주팔자를 분석해서 활용하면 홍익인간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0) | 2025.03.14 |
사주팔자(년, 월, 일, 시)의 의미를 아시나요? (1) | 2025.03.13 |
사주팔자에 무엇이 들어있을까요? (1) | 2025.03.12 |
명리학은 무엇인가?, 사주팔자의 인연은? (2) | 2025.03.11 |